[기도하는 시 - 박춘식]

령시인이 만든 이야기
- 닐숨 박춘식
짙푸른 산 입구 안내소 - 입산 기록부? - 직업 이름 남녀 나이를 적으라고 한다 - 웬 세상에 - 종교 친목으로 세 남자가 와서 - 승려 목사 신부라고 적었다 - 산신령 같은 노인이 직업을 다시 적으라고 하여 - 불교 개신교 천주교 성직자 - 틀렸다고 다시 적으라 한다 - 셋이 의논하여 - 남을 위하여 기도하는 사람 - 그런데 노인이 하나 더 적어야 한다고 말한다 - 신자들을 다스리고 지도하는 사람 - 노인이 화를 벌컥 내며 틀렸다고 다시 - 셋이 골똘히 생각한 끝에 - 남을 위하여 기도하면서 남을 위하여 낮게 봉사하는 사람 - 노인의 미소 - 이제 정확하게 적었구먼 - 고압산소탱크에서 몇 시간 심호흡하고 내려오는데 - 세 남자가 각각 큰 자루를 업고 내려온다 - 노인이 환하게 - 신목스님* 자주 오십시오 - 큰절 드린다
산을 오르내리면서
얄궂은 입산 기록부 때문에
눈에 보이는 쓰레기를 자루 가득 담았던 날
<출처> 닐숨 박춘식 미발표 시(2018년 1월 15일 월요일)
*신목스님= 신부님 목사님 스님
한반도의 종교 역사 순서를 불교 천주교 개신교라고 본다면, 스님 신부님 목사님이고, 교인 통계로 보면 목사님 스님 신부님이 됩니다. 세 가지 호칭을 한 단어로 만든다면 ‘스신목님’ 또는 ‘목스신님’이 되는데, ‘님’이 붙은 스님을 제일 뒤에 두면 ‘목신스님’이나 ‘신목스님’이 됩니다. 발음하기가 좋은 ‘신목스님’이라고 쓰고 보니 좀 그럴듯하여 이야기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 땅에서, 독재자들의 행패로 짓눌려 찢긴 마음들을 외면하지 못하여, 삼보일배가 평화적인 비폭력시위의 방법으로 등장하였고, 그리고 여러 종교 성직자들이 함께 삼보일배하는 모습은 국민들에게 큰 힘과 위안을 주었다고 여겨집니다. 이 기회에 우리나라의 모든 종교가 더욱 화목하게 서로 존중하면서 정치까들을 바로 이끌고, 국민들의 마음을 치유하는 가장 멋있는 모범을 보여 주기를 간절한 마음으로 빌고 싶습니다.
![]() |
닐숨 박춘식
1938년 경북 칠곡 출생
시집 ‘어머니 하느님’ 상재로 2008년 등단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