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신연 줌 세미나, '세계청년대회와 교회의 역할'
우리신학연구소가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와 교회의 역할'을 주제로 월례 줌 세미나를 진행했다.
지난 28일 열린 줌 세미나에서는 현정수 신부(수원교구 세계청년대회 조직위원회 사무국장)와 이주현 씨(서울대교구 조직위 콘텐츠팀 소셜미디어.영상 담당 봉사자)가 세계청년대회를 통해 교회가 한국 사회에 어떤 공적 역할을 할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참가자들의 의견을 들었다.
“이대로 좋은가, 어디로 가야 하는가, 어떻게 가야 하는가”
현정수 신부는 2027년 세계청년대회가 가야 할 방향은 “우리의 정체성”에 있다며, “이대로 좋은가, 어디로 가야 하는가, 어떻게 가야 하는가”라는 질문 아래, 6가지 키워드를 제시했다.
그는 키워드를 “복음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청년사목의 판을 흔들고, 성소의 씨앗을 심고, 보편 교회와 만나고, 다문화와 만나고, 세계청년대회 이후의 미래를 조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어떻게 가야 하는가”가 가장 중요한 질문이라고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다름”을 어떻게 바라보고 다룰 것인가에 대해, 그는 “다름”을 틀린 것이라고 보는 것을 경계해야 하지만, 상호 존중해야 할 다름과 ‘후진적’이어서 불편하게 여겨야 할 다름이 구별된다면고 말했다. 가톨릭교회는 그 정체성에서 비롯된 특별한 다름이고, 이는 행사, 이벤트가 아닌 만남, 순례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현 신부는 한국 교회는 또한 ‘평신도가 자발적으로 시작한 교회’라는 점에서, 세계청년대회의 중요한 쟁점 역시 “자발성을 어떻게 확보하고 이끌어 낼 것인가”라고 말했다. 그는 “세계청년대회에 거는 기대치을 너무 낮게 잡지 않고 최선을 다하기를, 한국 교회가 교회에 유익이 되는 이 대회를 하느님의 역사로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마무리했다.
"서울 세계청년대회, 주교시노드 이후 첫 대회라는 의미"
11년 전 브라질 대회부터 세계청년대회에 참석하고 봉사자로 활동해 온 이주현 씨는 서울 세계청년대회의 ‘특별함’은 “시노달리타스(함께 걷기)를 주제로 열린 제16차 세계 주교시노드 이후 그리고 2025년 희년 뒤에 열리는 첫 세계청년대회라는 점”이라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현재 세계청년대회를 위한 기초 연구 활동과 그 과정 안에서 가장 중요한 지점은 “순교, 평화, 희망, 용기, 복음 선포, 신앙의 증인, 친교”로 각 교구 대회에서부터 서울 본대회를 향해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세계청년대회는 행사가 아니라 순례이며 참가자들은 순례자다. 1회성이 아니라 지속성이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주현 씨는 서울 세계청년대회가 비그리스도교 국가에서는 처음으로,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열린다는 점에서, 한국 사회와 교회 안에서도 끊임없는 이해와 설득, 홍보,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고, 양성자와 피양성자 구분 없이 각 주체가 서로 양성하는 동반 양성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교회 떠난 청년들에 대한 환대 생각해야
사목적 패러다임 바꾸기 위한 창의성 없다면, '상상 사목'
두 발표자의 나눔이 끝난 뒤, 참여자들의 질문과 의견 제시, 특히 교회 내 청년들이 줄어드는 현상에 대한 인식, 우려에 대한 이야기가 이어졌다.
교회 청년으로 활동했던 이보나 씨는 “가톨릭 신자들만의 축제가 아니라 청년들에게 희망, 용기와 같은 중요한 가치를 심어 주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그리고 그런 공감을 어떤 식으로 얻는가가 상당히 중요할 것”이라며, “환대 역시 외국 청년들에 대한 환대뿐 아니라 한국 내 보이지 않은, 교회를 떠난 청년들을 환대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맥락에서 가톨릭교회 자체의 태도 역시 많이 달라져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 한국 교회가 어떻게 많은 청년과 사람들을 환대할 수 있을지 그 태도부터 논의하는 것을 시작으로 삼으면 좋을 것 같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또 사목자들의 청년에 대한 고민, 세계청년대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우려와 관련해, “청년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이며, 어떤 청년들을 어떻게 만날 것인가를 고민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양한 현실에 처해 있는, 교회에 머무를 수 없고 떠나간 청년들을 직접 만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사목 대상에 대한 두려움은 모르는 것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제시했다.
이석주 수녀(살레시오수녀회)는 그동안 세계청년대회를 경험한 이들이 “세계청년대회에 대한 감상이나 경험담을 많이 이야기하지만 정작 그곳을 다녀온 자기 자신이 어떠한지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경우는 드물다”면서, “청년들이 그 기회를 통해서 어떤 영적 체험을 했는지 궁금해 하고 이야기를 듣는 것이 필요하다. 그 질문은 청년들이 어떤 영적 갈망을 갖고 있는지, 어떤 삶을 추구하고 있는지 궁금해 하는 것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수녀는 “교회 내 수도자나 사제가 중심이 되고 청년들을 위한다는 명목 아래 이뤄지는 행사들을 보면서, 우리가 과연 청년들이 원하는 것, 그들의 목소리를 얼마나 들으려고 하는지 생각하게 된다”며, “어쩌면 그들이 정말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좋아할 것이라고 짐작하는 것들을 짧은 시간에 주려고 하는 것 같다. 청년들이 가치를 두고 원하는 것을 위해서는 더 경청할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현정수 신부는 교회 내 청년에 대한 인식, 특히 사목자들의 태도에 대한 의견과 관련해, 사제의 몫이 모든 단계에서 크게 작용하는 현실에서 필요한 것은 “사목적 회심”이며, 이는 복음화의 새 국면을 만드는 것이고, 새로운 길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창의력이 상당히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말했다.
그는 사목 현장에서 상황을 바꾸고 변화시키려는 입장이 마치 “사목 자체를 반대한다”는 것으로 비춰지기 쉬운 것이 현실이라고 토로하고, “새로운 복음화를 위한 창조적이고 새로운 길, 복음 선포를 위한 최선의 방식을 추구하는 것이 사목적 회심으로 넘어가는 것이다. 그래서 현실과 동떨어진 ‘상상 사목’을 멈출 수 있다”고 말했다.
다음 달 우리함께 줌 세미나는 9월 30일 '200주년 사목회의 40주년과 세계주교시노드'를 주제로 진행된다.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