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류가 아니라 투기', 주교회의 등 성명

일본 후쿠시마 핵발전소 오염수 방류를 두고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 천주교가 이를 반대하고 나섰다.

이들은 방사능 오염수 ‘방류’가 아니라 ‘투기’라고 강조하고, 일본에는 모든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할 것, 우리나라 정부에는 투기 걱정을 ‘오염수 괴담’으로 평가절하하지 말고, 해양 생태계 안전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을 요구했다.

26일 한국 천주교주교회의 생태환경위원회와 정의평화위원회가 “후쿠시마 핵발전소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 투기를 반대합니다”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 성명에는 전국 16개 교구 가운데 14개 교구의 환경, 사회사목 관련 위원회들과 수도회 연합, 가톨릭 환경 단체 등이 이름을 올렸다.

6월 23일 가톨릭기후행동의 금요기후행동에 나선 한 참여자가 오염수 방류 반대 손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 제공 = 가톨릭기후행동)
6월 23일 가톨릭기후행동의 금요기후행동에 나선 한 참여자가 오염수 방류 반대 손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 제공 = 가톨릭기후행동)

이들은 방류란 “특별한 불확실성이 없는 상태에서 모아 둔 물을 정상적으로 처리하는” 것이지만,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는 “수많은 불확실성에서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는데도 처리하는 비정상 경우이기에 해양 투기라고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일본이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거른 방사능 오염수를 해양 투기하겠다면서도, 기술과 비용 문제로 9종만 검사하겠다고 한 것을 지적했다.

또 “이번 해양 투기로 오랜 시간에 걸쳐 우리나라 바다를 포함 태평양 일대에 광범위한 방사능 오염 상황을 불러올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떨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들은 “지난 2011년 일어난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로 누출된 방사능이 인근 지역과 해양을 오염시켜 왔다”고 강조했다. 4월 시민방사능감시센터와 환경운동연합이 발표한 “일본산 농수축산물 방사능 오염 실태 분석 보고서”를 인용하며, “후쿠시마 인근 해역에서는 여전히 방사능에 오염된 수산물이 발견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저장 오염수 해양 투기에 대한 검토를 시작하기도 전에 이미 결론을 정한 듯한 태도를 보여 왔다”고 지적하며, “도쿄전력이 방사능 오염수의 탱크에서 표본을 채집할 때 방사능 농도가 더 높은 바닥에 가라앉은 침전물은 제외했다는 지적에 제대로 된 답을 하고 있지 않다”고 비판했다.

이어 “방사능 오염수를 시멘트, 모래 등과 섞어 콘크리트 형태로 만들어 탱크에 보관하는 ‘모르타르 고체화’ 방법” 등 다른 관리 방법이 있는데도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이 가장 비용이 적게 드는 해양 투기를 선택했다”며, 이는 ‘유엔해양법협약’ 위반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와 여당은 오염수 안전을 강조하고 있지만, 야당을 비롯한 정치계와 종교, 시민사회 단체 등이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다. 우원식 의원(더불어민주당), 이정미 의원(정의당 대표)이 방류 저지를 위해 단식에 들어갔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한일 종교시민사회와 공동 선언문을 냈고,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도 오체투지와 기도회로 요염수 투기 중단을 촉구했다. 

☞ 후쿠시마 핵발전소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 투기 반대 성명 전문과 참여 단체 보러 가기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