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영화]

청춘과 성장을 담은 한국영화 "스물"을 보고 난 후 잠시 씁쓸했다. 다른 나라의 스무 살 영화 "위플래쉬"와 비교할 점이 많은 영화라서 그랬다. 코미디와 음악영화라는 다른 틀 안에서 표현되지만 두 영화 모두 지금 현재의 스무 살들의 고군분투를 다룬다. 영화에서 아프고 가련한 스무 살 청춘은 어떻게 살고 어떻게 어려움을 헤쳐 나가 좋은 어른으로 성장할지가 관건이다.

‘스물’은 '청춘'과 '아프다'라는 단어가 이상하게 붙어 다니는 현실에서, 영화는 아프니까 청춘이 아니라, 욕망하니까 청춘임을 보여준다. 사회의 주도권을 빼앗겨 버려서인지, 중년을 그리는 영화에 비해 싱그러운 젊음을 그리는 영화가 많지 않은 환경에서 스무 살 청춘을 담은 영화 '스물'에 대해 거는 기대가 있다.

"맨발의 청춘"(1964), "바보들의 행진"(1975), "철수와 미미의 청춘스케치"(1987), "비트"(1997), "늑대의 유혹"(2004)처럼 시대를 풍미한 청춘영화들이 있었다. 각 세대들은 청춘영화를 통해 당대 젊음을 대표하는 스타가 된 배우들과 함께 성장하고 늙어가는 재미를 누린다. 하지만 지금은 청춘영화라는 장르가 별로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이라 어린 스무 살을 그리는 용기에 일단 박수를 보내고 싶었다.

유머로 무장한 명랑하고 싱그러운 스무 살 아이들을 보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지금 20대 청춘들에게는 현실감을, 그보다 윗세대에게는 추억을, 20대를 자녀로 둔 이들에게는 소통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잘하면 "써니"(2011)처럼 모든 세대가 공감할 수도 있다. 판타지로 끝날지언정 아픈 현실을 극복할 희망을 주고 지친 청춘들을 어루만져주기를 바라건만, 영화는 한없이 투명에 가깝도록 가볍다.

세 명의 잘 생긴 남자배우가 나온다. 꿈도 목표도 없이 여자만 밝히는 뻔뻔한 치호(김우빈), 가난하지만 만화가의 꿈을 버리지 않고 숱한 아르바이트를 뛰는 생활력 강한 동우(이준호), 대기업 입사를 목표로 대학 생활에 충실한 모범생 경재(강하늘), 이 세 사람은 고등학생 때부터 우정을 다진 죽마고우다. 성인으로서의 첫발을 디딘 치호, 동우, 경재는 각각 이상과 현실이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지만 무엇 하나 쉽지 않다.

세 사람은 현실의 청춘들을 각기 대변한다. 무엇을 하고 싶은지조차 모른 채 잉여로 살아가는 치호, 꿈을 이루기에는 현실이 너무나 막막한 동호, 사랑의 열병을 앓는 서툰 경재는 어른으로 가는 길목에 선 우리의 스무 살들이 그렇듯이, 보편적인 인물형이다. 영화의 장점은 현실의 어려움에 화를 내거나 절망하는 것이 아니라, 가볍게 훌쩍 뛰어넘으며 웃음으로 받아넘기는 넉넉함에 있다. 과연, "과속스캔들", "써니", "타짜-신의 손"의 각색가로 이름을 알린 이병헌 감독은 재치 있는 대사의 맛을 살릴 줄 안다.

하지만 현실의 세태를 반영하는 에피소드와 캐릭터는 자꾸 심기를 거스른다. 좋아하는 여자가 생기면 가슴을 만지는 것으로 연애를 시작하는 치호의 습관이나, "남자 등쳐먹고 싶은데 시간이 없네."라고 중얼대는 고3 소희의 대사는 세대차로 인한 문화적 충격이라기보다는 올바르지 않기 때문에 불편하다. 유부남 교수와 연애하는 여학생, 돈 많고 나이도 많은 스폰서를 두고서야 성공하는 여배우, 미모 하나 믿고 살다가 이제는 아들에게 기생하는 엄마 캐릭터는, 페미니즘을 여성의 허영으로 몰아세우는 기이한 일부 현상에 대한 조응으로 보인다.

알파걸, 알파우먼이 혹 여성우월주의로 나아갈까봐 지레 걱정하는 것일까. 예쁘니까 할 일 다 한 기특한 아이가 되고, 예쁜 여자니까 변덕스럽고 음식도 못한다는, 정말로 웃기시는 대사가 펼쳐지니, 젊은 감독의 젠더 관념이 정말로 걱정스럽다. 은근한 외모차별주의와 간간히 표현되는 여성비하는 코미디를 위한 설정이라는 것을 알지만, 못내 불편하다.

일명 '병맛 코미디'라고 하는 대사치기와 리듬감은 좋다. 세 주인공 캐릭터 또한 공들인 티가 역력하다. 이상한 놈, 착한 놈, 못난 놈이 만들어내는 시너지는 활기차고 유쾌하다. 우울한 청춘의 초상으로 가득해서 지질해져 버리고 만 여타 청춘영화들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빛을 발한다. 꿈과 현실이 충돌을 일으키는 세상에서 절망하지 않고 유연하게 다른 길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니, 영화 결말부의 희망은 허망하지 않다. 김우빈을 비롯한 젊은 배우들의 능청스러운 호연과, 올드팝을 적재적소에 살려내어 향수를 자극하는 것은 '써니'와 다른 듯 비슷해서, 남성판 "써니"를 보는 것 같은 즐거움이 있다. 그래도 이 영화의 성별 관념에는 도저히 동의하지 못하겠다.

영화 "위플래쉬" (이미지 출처=SHOWBOX 유투브 영상 갈무리)

"위플래쉬"는 음악영화이지만, 낭만과 멜랑콜리를 발휘하지 않는다. 뉴욕이라는 치열한 경쟁 공간에서 스무 살 음악학교 학생이 중년의 폭군 스승과 벌이는 대결은 음악을 편하게 감상하게 하지 않는다. 음악은 치열하게 살아가는 이들에게 투쟁 도구다. 세상을 헤쳐 나가는 무기로서의 음악에 모든 것을 건 두 사람의 대결은 액션 스릴러 영화를 보는 것처럼 흥미진진하기 그지없다. 심장을 뛰게 하는 영화라, 닥치고 강추!

최고의 드러머가 되기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할 각오가 되어 있는 스무 살 음악대학 신입생 앤드루(마일즈 텔러)는 우연한 기회로 누구든지 성공으로 이끈 최고의 실력자이지만 또한 동시에 최악의 폭군인 플렛처 교수(J.K. 시몬스)에게 발탁돼 그의 밴드에 들어가게 된다. 폭언과 학대 속에 좌절과 성취를 동시에 안겨주는 플렛처의 지독한 교육방식은 천재가 되길 갈망하는 앤드류의 집착을 끌어내며 그를 점점 광기로 몰아넣는다.

제목 '위플래쉬'는 영화 속에서 밴드가 연주하는 재즈곡이다. 더블타임 스윙 주법으로 완성된 질주하는 독주 부분이 매력적인 곡으로 우리말로는 ‘채찍질’을 뜻하며, 영화에서 이중의 의미를 가진다. 학생을 채찍질하는 독한 선생이 선택하는 최상의 곡인 것이다.

성공하겠다는 일념 하나로 앤드류가 홀로 드럼을 연주하는 첫 장면을 바라보는 플렛처의 시점 장면은 마치 미스터리 스릴러 장르 스타일처럼 묵직하다. 마지막 승리를 향해 물러서지 않으며 음악을 연주하는 두 사람의 대결 장면은 액션 영화의 결투 장면처럼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빠르게 쇼트가 넘어가는 편집 스타일, 현장감 있게 서스펜스를 유발하는 핸드헬드 카메라, 누아르 스릴러처럼 보이게 콘트라스트를 준 조명 등 모두 뛰어나지만 무엇보다도 이야기를 엮어내는 솜씨가 일품이다. 차젤레 감독은 관객을 흥분과 긴장감의 도가니로 몰아넣어, 마지막 순간에 승리감을 맛보게 하는 연출력을 발휘한다.

영화는 교육에서 훈육과 자율이라는 고리타분한 이분법을 가지고 세대 간의 대결이라는 흥미진진한 이슈로 탈바꿈시킨다. 자유분방한 재즈에 너무 엄격하게 접근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지만, 영화는 재즈란 무엇인지를 보여주려는 게 아니다. 영화에는 중년세대에게 도전장을 던지고 멋지게 대결하는 젊은 세대의 용기가 살아있다. 멘토와 악당을 한 몸에 체화한 플렛처 교수라는 외부 공격을 이겨내고 주인공은 어른이 되어간다. 저항하고 도전하는 것이 젊은이의 특권이라는 점을 잊고 사는 신자유주의 시대에 영화는 고전적 이상주의를 펼친다.

도전하는 그대들이 영화를 통해 작은 위안과 힘을 얻기를!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