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치스코 교황직 10년

제목을 이렇게 달고 나니 어디서부터 얘기해야 할지 초장에 길을 잃을 것만 같다. 망설이다 건져 올린 마음 하나, ‘감사’! 구순을 바라보는 나이임에도 건강하게 생존해 계서서 감사하고 자기 고집에 빠진 노인네로서가 아니라, 진정으로 경청하고자 하는 원숙하고 연륜이 깊은 지도자의 모범을 보여 주어서 감사하다. 더욱이 2013년 교황직을 시작하고 얼마 뒤에 발표한 교황 권고 ‘복음의 기쁨’ 이래 온갖 어려움에 굴하지 않고 줄기차게 교회개혁과 쇄신을 말하고 이를 실천해 온 삶이, 교회를 사랑하는 그 마음이 고맙고 또 고맙다. 개인적으로는 교황의 교회개혁 의지에 감화되어 이 난의 제목을 ‘교황 프란치스코와 하느님의 백성’으로 정하고, 2016년부터 지금까지 평신도의 눈으로 교회개혁을 말할 수 있는 계기와 영감을 주어서 진정 감사하다. 비판이 거의 자취를 감춰 버린 한국 교회에 이런 말과 생각에 그늘을 드리워 주고 ‘비빌 언덕’이 되어 주어 정말 감사하다. 즉위 10년이 되는 마당에도 이 ‘칼럼을 접겠다’는 낙담이 아니라 ‘계속 써 보겠다’는 마음을 새롭게 해 주어서 더없이 감사하다.

돌아보면 지난 10년은 프란치스코 교황에게는 쉽지 않은 여정이었고 그 길에서 수많은 반대와 비판에 부딪쳤음을 어렵잖게 목격한다. 교회를 세속과는 완전히 다른 강력한 요새로서의 ‘완벽 사회’(perfect society)로 여기고 ‘세상 정화’를 목표로 삼는 극우적, 근본주의적 성직자와 신도가 교회 구조의 개혁을 말하는 교황에 침묵하기는 지극히 어려웠을 것이다. 또한 ‘복음을 더 분명하게 증언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우리를 복음화하도록 내어 맡겨야”('복음의 기쁨' 121항) 한다는 일성은 교회 기득권자들에게는 ‘부자와 바늘귀’처럼 좀체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도전이었음이 분명하다. 더욱이 여기서 ‘다른 사람들’이라 함은 타 종교와 토착 종교, 백인만이 아닌 다른 민족들, 특히 부자가 아니라 가난한 이들을 말하는 것이고 이들을 통해 교회를, 그리고 우리의 신앙을 복음화하게 하자는 주문이니, 소화는커녕 ‘이물질’이나 ‘이단’으로 치부하며 토해 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를테면, 2019년 아마존 주교 시노드가 한창인 당시 로마 성 베드로 성당 안에 예식을 위해 안치한 아마존 지역 토속 여신 ‘파차마마’(Pachamama) 상들을 오스트리아 출신 백인 청년 두 명이 훔쳐 내 인근 티베르 강에 던져 수장시켜 버린 사건은 이런 분위기를 단적으로 드러낸다. (이들은 이를 녹화하여 유튜브에 올렸다.)1) 나중에 이 목각상은 건져 올려져 다시 안치되었고 이에 대해 교황이 사과했지만 전임 신앙교리성 장관 뮬러 추기경은 ‘우상숭배’이며 심각한 ‘대죄’라고 강하게 비판했고, 레이몬드 버크 추기경도 ‘성당 안에 우상숭배와 악마의 세력이 경배받은 데 대해 보속과 기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2) 이쯤되면 시쳇말로 ‘막가자는 것’이다. 비판이 아니라 비난을 넘어 적대요, 직접 말로 내뱉지는 않았지만 ‘이단이니 몰아내자’는 주장과 진배없다. 어디 그뿐이랴. 이 시노드에서 아마존 지역의 사제 부족이라는 현실로 인해 사제 독신 및 기혼자 서품 문제에 예외를 두자는 제안이 나오고, 이에 대해 프란치스코 교황이 ‘사제 독신은 교리가 아니라 전통이므로 변경할 수 있다’며 전향적인 태도를 보이자 전직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혔고, 결국 프란치스코 교황직 수행에 차질을 빚게 했다.3)

더욱이 프란치스코 교황의 최측근 실세로 여겨졌던 조지 펠 전 교황청 재무원장이 프란치스코의 교황직을 “대실패요 대재앙”이라고 저주를 퍼붓듯이 비난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섹슈얼리티와 여성에 관한 교회의 가르침에 대해 2년에 걸쳐 평신도의 의견을 듣고 있는 것은 “독약 같은 악몽”이라고 아주 대놓고 맹비난을 쏟아 냈다. 측근이었던 그가 교황에게 등을 돌리게 된 것은 펠 자신이 워낙 완고한 보수자인데다가 프란치스코 교황이 여성, 이민자, 성소수자에 대한 포용을 강조하고 이와 관련해 평신도의 의견을 경청하는 등의 태도에 환멸을 느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4) ‘어떻게 가르침의 대상에게 가르침을 받을 수 있는지’, 불변의 진리 자체인 요새로서의 교회를 어찌 감히 허접한 ‘야전 병원’ 같은 곳에 비유를 하는지, 이런 어불성설은 그에게는 타협의 대상이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교회는 2000년 동안 ‘하나의 교회’이며 그 구조가 변화 또는 개혁된다는 것은 신학적으로 불가능한 일이 아닌가 말이다. 펠 추기경의 분노는 이런 신념을 해체하는 방향으로 몰고가는 프란치스코의 말과 행동에 기인하는, 도저히 용서가 안 된다고 여기는 많은 극우 가톨릭을 대변한다고 보인다.

프란치스코 교황. (사진 출처 = commons.wikimedia.org)
프란치스코 교황. (사진 출처 = commons.wikimedia.org)

여전히 뿌연 교회의 미래

그렇다고 이런 반대자들을 괄호 쳐 버린다고 한들 사정이 훨씬 더 나아졌을까. 교황청발 시노드는 진보적인 것 같은데 도통 안개로 자욱해 가늠하기 어렵고 때로는 길을 잃어 엉뚱한 곳으로 향하게 한다. 이런 혼돈과 불투명함의 혼재가 프란치스코 교황의 ‘특기’라고 긍정적으로 본다고 하더라도, 많은 이들이 실망한 채 다음 발을 어디에 디뎌야 하는지 어려워하는 것도 사실로 보인다. 특히 여성 문제와 관련해서는 더 그렇다. 여성의 사제 서품과 관련해서 해마다 교황의 표현, 그 워딩에 약간의 진화는 있을지라도 본질적으로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규정한 내용에 매여 있다. 이 문제와 관련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인터뷰, 기자회견은 2013, 2015, 2016, 2018, 2020, 2022년에도 여전히, “교회는 (여성 서품에 대해) ‘아니다’라고 발표했고 말해 왔다”5)는 것이다. 이에 대해 매우 너그럽고 또 크게 에누리를 해서 본다고 해도 ‘교회가 이 문제에 답하기에는 아직 준비가 안 됐다’는 설명 이상을 넘어서지는 못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조차 지금 세계 교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공동합의적 교회를 향한 과정에서 제기되는 여성 사제직에 대한 요구, 지속적이고 가시적이며 “요란”하기까지 한 여성 사제 운동 등을 결코 만족시킬 수는 없을 것이다. 에둘러 가지 않고 직설적으로 말하면 상황은 훨씬 더 심각할 수 있다.6)

여성 문제와 관련하여 프란치스코 교황이 전직 교황들을 거의 그대로 따르고 있다고 보이는, 그래서 신학적으로 진일보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지점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교회론에서 마리아와 베드로의 긴밀한 관계를 전형적인 성 역할과 관련지어 이해하고 있고 또 그의 여성관에 대한 신학적 배경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1970년대에 한스 우르본 발타사르는 당시 ‘로마적 가톨릭’에 반감을 갖는 분위기에 대항해 교회 내에서 ‘마리아와 베드로 원칙’(Marian-Petrine principle)이 여전히 고유하고 확고하다며 ‘젠더 상보성’(gender complementarity) 신학 이론을 주창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이런 신학적 정당화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이다.7) 프란치스코 교황이 여성 부제나 사제 서품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자주 ‘교회는 여성이자 신부이며 여성성 원칙이 마리아 원칙이다. 그러므로 이는 (성직 수행과 승계를 중심으로 하는) 베드로 원칙보다 더 중요하다’고 강조해 왔다. 여기서 여성성은 가정적, 내면적이며 환대적이고 영적으로 그려지고, 반면 남성성은 권위적이고 권력적이라는 이원적인 인식으로 고정관념화하고 위계적인 가치가 더해지면서 이를 내면화하기에 이른다.8) 결국 ‘마리아 원칙’이 전체 교회를 ‘적극적 수용성’(active receptivity)이라는 특징으로 구성해 간 것이라면, ‘베드로 원칙’은 오직 서품받은 남성 교회 지도자들에 의해서 수행된다는 성직 지배 질서를 강조하는 결과를 낳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란치스코의 교황직 아래 ‘교회개혁’의 이름으로 중세적 신학 이념과 수직적 성직 중심의 교회 구조를 ‘공동협력적’(synodal, 함께 걷는) 교회로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조금씩 진전되어 가고 있다. 피라미드형 위계적 교회를 수평적인 친교의 공동체로 만들기 위해 프란치스코 교황은 2023년으로 계획된 주교 시노드를 2024년까지 1년 더 연장해 진정한 ‘하느님 백성’ 전체의 시노드가 되기를 염원하고 있다. 이 와중에 한국과 아시아 교회, 특히 주교회의 차원의 주목할 만한 노력이 거의 보이지 않는 점은 아쉬운 대목이 아닐 수 없다. ‘복음의 기쁨’과 프란치스코 교황직 10년을 기념하는 올해에 그 정신을 되새기고 새롭게 하는 여러 일들이 기획되고 실천되기를 기대해 본다.

1) 이 비디오는 여전히 유튜브에 올라 있으며 상영이 가능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WBzheA0qhGc 이 목각상들을 강물에 던진 한 오스티리아 청년은 다른 비디오를 찍어 자신들이 왜 그랬는지 그 이유를 당당히 밝혔다. https://www.youtube.com/watch?v=1p74CEA1_go
2) Jeanne Smits, “Cardinal Burke: diabolical forces’ entered St Peter’s Basilica through Pachamama idolatry”, LifeSite, Dec. 10, 2019.
3) “베네딕토 16세 전 교황, 프란치스코 교황에 '사제 독신주의 유지해야' 경고”, <BBC News Korea>, 2020.1.13.
4) 편집국, “‘대실패’- 펠추기경, 비밀 글로 프란치스코 교황 맹비난”,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2023.1.20.
5) Kate McElwee, “The evolution of Pope Francis on women: Some movement, but more needed,” National Catholic Reporter, March 7, 2023.
6) 위의 글.
7) Richard Gaillardetz, “Pope Francis has opened the door for real church reform, but hasn’t stepped through”, National Catholic Reporter, Feb. 28, 2023.
8) Cindy Wooden, In Vatican newspaper, academic urges Pope Francis to get beyond women stereotypes, National Catholic Reporter, Dec. 13, 2022.

황경훈

우리신학연구소 선임연구원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