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된 신학자들 제안

교황청 신앙교리성으로부터 비판을 받아온 가톨릭 신학자들이 집단으로 신앙교리성에 편지를 보내 신학적 조사 절차를 비밀주의 대신에 개방성과 투명성에 바탕을 두고 새로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지난달 신앙교리성에 보낸 편지에서 현재의 조사 절차는 피의자의 적절한 자기변호나 항변 가능성이 없는 경우가 많아서 “자연 정의에 어긋나며 개혁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현재의 규정들이 낡았고 “16-17세기 유럽의 절대주의 왕정”에 바탕을 둔 모델이라고 날카롭게 비판했다.

- 조사 대상 인물이 자신을 고발한 사람을 만나거나 말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 신앙교리성이 “고발자, 수사관, 판사, 그리고 배심원”을 다 맡는 경우가 많으며, 마음대로 벌을 내리고 마음대로 항변을 듣는다.
- 피고는 교황청과 직접 연락 상태가 아닌 경우가 많다. 신앙교리성은 그 본인보다는 그가 속한 수도회의 장상이나 교구의 주교를 통해 일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 그래서 조사 절차가 “몇 년씩 끌며, 때로는 피고의 정신, 신체 건강에 부정적 결과를 낳기도 한다.”

마지막 지적은 특별한 의미가 있는데, 교황청 조사를 받았던 이 가운데 많은 사람이 조사 절차가 아주 힘들었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 교황청 신앙교리성 (사진 출처 = <NCR>)

제럴드 오콜린스 신부(예수회)는 벨기에의 유명한 신학자인 자크 뒤피가 3년간 신앙교리성으로부터 조사를 받을 때 도와줬다. 그는 이 절차 때문에 뒤피 신부가 병원에 입원하기도 했으며 어쩌면 일찍 죽은 것도 이 때문일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NCR>이 손에 넣은 이 편지에 서명한 이들 가운데는 근래 조사를 받았던 유명 신학자들 일부가 포함돼 있다. 여성 사제 서품을 지지하는 전직 메리놀회 사제 로이 부르주아, 성소수자의 권리를 옹호하는 제닌 그래믹 수녀, 전 미국 가톨릭신학협회장 엘리자베스 존슨 수녀, 그리고 호주의 윌리엄 모리스 주교 등이다.

이들은 신앙교리성에 새 지침이 될 원칙들을 제시하는 한편 조사 절차도 바꾸어 교리 문제에 대한 최종 책임을 신앙교리성이 아니라 주교시노드가 맡을 것을 제안했다.

이들은 현재의 절차가 “세상이 그리스도교 공동체에 기대하고 가톨릭교회가 세속 기관들에게 요구하는 인권과 책임성, 그리고 투명성이라는 현대 개념들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고 썼다.

이 편지는 올해 초 작성되어 3월 초에 프란치스코 교황과 신앙교리성 장관인 게르하르트 뮐러 추기경에게 보내졌다. 이들은 앞으로 교황청이 어떤 신학자를 조사할 때 따를 8가지 원칙을 제안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고발된 당사자가 대응할 기회를 주는 것이다.

또한 이들은 지금처럼 익명의 보고서나 고발을 허용하지 말 것을 요구하면서, 그래야 “전적으로 무자격인 개인이나 단체에 의한 경솔한 주장”이 제어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이들은 어떤 신학자의 저술을 구체적인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조사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하고, 또한 “처음부터” 조사 대상자를 참여시키면 제기된 문제를 즉각 해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편지 작성에 중심적 역할을 한 토니 플래너리 신부(구속주회)는 이 편지로 당장 어떤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지는 않았다. “내가 지금 69살인데 앞으로 몇 년은 더 교회 안의 불의한 절차를 널리 알리려 최선을 다해 힘써 볼 생각이다.”

“아마 앞으로 한 100년 안에는 별 열매를 거두지 못하겠지. 알다시피, 교회가 원래 그렇게 움직이지 않는가.”

기사 원문: http://ncronline.org/news/vatican/letter-cdf-group-calls-reform-vatican-investigations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