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측에 해고자 복직에 대한 진전된 교섭 촉구

쌍용자동차노조 김득중 지부장이 사측에 해고자 복직에 대한 진정성 있는 교섭을 요구하며 무기한 단식을 시작했다.

“단 한명의 해고자도 배제할 수 없고, 시기가 명시되지 않는 단계적 복직은 결코 수용할 수 없다.”

쌍용차 해고자 복직투쟁 2291일째인 8월 31일 김득중 지부장은 단식투쟁에 앞서 성명서를 발표하고 사측에 교섭의 핵심인 ‘해고자 복직’에 대해 성실히 임할 것을 촉구했다. 김 지부장은 성명서에서, “사측이 먼저 이번 실무 교섭(8월 21일)에서는 모든 것을 다 내놓고 심도 있게 논의하자고 했음에도, 사실상 해고자들의 절박한 마음을 악용하는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면서, “자존심까지 무참히 짓밟는 사측의 태도에 더 이상 참을 수 없어 무기한 단식에 돌입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 쌍용자동차노조 김득중 지부장이 8월 31일부터 사측에 해고자 복직을 위한 교섭에 성실히 응할 것을 촉구하며 무기한 단식농성을 시작했다. ⓒ김재욱

쌍용자동차 사측과 노조는 해고 이후 65개월 만인 지난 1월 21일 해고자 문제 해결을 위한 실무교섭 진행을 합의하고 지금까지 협상을 이어 왔다. 양측은, “해고자 복직, 손배가압류 문제, 쌍용차 정상화, 28명의 희생자 유가족에 대한 지원 등의 의제를 정하고 7개월째 협상을 진행하고 있지만, 사측은 가장 중요한 해고자 복직 문제에 정확한 답변을 하지 않고 있다.

노조는 해고자 복직에 대해 일괄복직을 요구했지만, 사측의 입장을 고려해 해고자들의 의견을 물어 “복직시기가 명시된 단계적 복직”으로 요구안을 수정한 바 있다. 그러나 사측은 이에 대해 “차량판매 성과나 생산계획을 확정하지 못해, 회사 경영의 미래 전망이 불투명한 상태”라며, 복직 기한 명시를 거부하고 있다.

쌍용차는 최근 내놓은 티볼리 돌풍에 힘이어 새로 디젤형 티볼리를 지난 7월 출시했다.

이에 대해 김득중 지부장은 “복직시기가 명시된 단계적 복직으로 요구를 수정한 것은 해고자들이 삶의 끈을 부여잡게 하고 싶었기 때문”이라면서,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다. 교섭의 핵심은 해고자 복직이므로, 지부의 최소한의 요구가 기본적으로 전제되어야 내용적 접근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또 손배소와 관련해, “47억이라는 천문학적 손배가압류로 해고자들의 숨통을 조이고 있는 지금, 쌍용차 문제의 해결은 법의 잣대와 기준 보다 사회적 합의가 핵심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복직 대상은 180여 명이다. 애초 복직을 요구하는 해고자는 187명이었지만, 이 가운데 정년퇴직, 사망, 연락두절 등이 있어 정확한 인원은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대해 김득중 지부장은 <가톨릭뉴스 지금여기>에, “몇 명이든 인원수는 중요한 것이 아니며, 단 한 명도 포기할 수 없다는 것이 기본 원칙”이라며, “복직 결정이 되면, 복직 희망자 신청을 비롯한 절차가 진행될 것이며, 복직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현재로서는 대상이 누구인지 규정하는 것은 우선순위가 아니”라고 답했다.

또 앞으로의 교섭 진행에 대해서도, 계속 교섭은 진행될 것이며 회사가 바로 내일 교섭을 하자는 제안을 해왔다면서, “단식을 시작한 것은 지지부진한 사측의 입장을 돌리려는 것이고, 단식과 관계없이 회사가 진전된 내용으로 교섭을 원한다면 언제든 임할 것이다. 결코 우리가 먼저 교섭을 결렬시킬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득중 지부장은 “복직은 해고자들에게는 목숨”이라면서, 시민들에게 “많은 시민들의 사회적 열망으로 7개월간 교섭을 진행했지만 진전이 없는 것에 송구하고 안타깝다”며, “이 교섭은 7년 투쟁을 끝내고 쌍용차 문제를 온전히 해결하기 위한 것인 만큼,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마음을 모아 달라”고 당부했다.

쌍용차 평택공장을 관할지역으로 두고 있는 수원교구 정의평화위원장 최재철 신부는 <가톨릭뉴스 지금여기>에 “단식 소식을 듣고 많이 답답하다면서, 사측이 해고자들에게 희망고문을 하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고 입장을 밝혔다. 최 신부는, 현재 쌍용차 노조위원장 선거가 있는 것으로 아는데, 교섭에 제대로 집중이 되고 있는지 걱정이고 노조위원장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앞으로 교섭도 영향을 받을 것 같다면서, “교회에서 무엇을 도와야 할지 아직은 선명하지 않지만, 지역 정평위를 중심으로 방법을 논의할 것 같다”고 말했다.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