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닉네임
- 네트워크RE
6월 [복지 국가를 위한 시민토론모임]
참여자들이 매달 지정 도서를 직접 읽고 와서 함께 대화하면서 새로운 복지 국가를 위한 정치적 상상력과 생각을 함께 나누는 모임입니다. 전문가 중심의 강의가 아닌, 참여자분들의 주체적이고 자유로운 의견 나눔에 의해 진행되는 토론 모임에 관심 있는 분들을 초대합니다.
*토론 모임 참여 신청 링크: https://forms.gle/dz4KcYJvp7YNfdvj6
<책 소개 & 토론 목표>
[격차]는 유엔 《인간개발보고서》 통계자문위원, 유럽 그린뉴딜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신진 경제인류학자 제이슨 히켈의 대표 저작으로 제국주의부터 신자유주의에 이르기까지 잔혹한 모습으로 진화해 온 빈곤과 불평등의 역사를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현실적이고 대담한 해법을 제시하는 책입니다.
인간이 기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것을 충족시키거나 사회적 진보를 달성하는 것이 아닌 이윤 극대화와 축적, 무한 증식과 성장만을 최우선 목적으로 삼는 자본주의는 가난한 사람들, 가난한 나라들에 대한 지속적 착취를 통해 오늘날과 같은 빈곤과 기아, 불평등, 기후 위기라는 결과를 낳았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구 선진국의 입맛에 따라 정책을 결정하는 세계은행(wb), 국제통화기금(imf)같은 국제개발기구들은 ‘세상이 점점 나아지고 있다’는 메시지를 전파하는 데 여념이 없고 거대한 산업이 되어 버린 개발 원조 프로그램 등으로 문제의 근본 원인이 아닌 현상의 가장자리만을 떼우려 하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저자는 단단하고 풍부한 역사적, 사회적, 지리적 맥락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삼아 오늘날의 ‘거대한 격차’를 만든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의 영향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제국주의적 수탈의 역사, 신자유주의의 탄생과 ‘자유’라는 이름으로 자행된 부패와 반민주주의 사례들을 들어 우리에게 더 큰 진실을 볼 수 있게 하고 ‘탈성장’의 해법을 통해 사람들의 삶을 향상시키면서도 더 정의로운 사회적 결과를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저자의 주장에 대한 근거를 바탕으로 하여 대한민국의 구조적 불평등 문제 및 국제 세계의 불평등 문제를 살펴보면서 이에 대해 우리가 어떠한 입장을 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토론 도서 소개 링크: https://naver.me/FBeARLaG
<모임 안내글> ———————-
1. 날짜: <1차> 2025/ 6.13(금) 저녁 7-9시(1-2부)
<2차> 2025/ 6.27(금)저녁 7-9시(3-4부)
2. 장소: 서울시 공익활동지원센터
(삼각지역 8번 출구)
3. 도서: [격차] (제이슨 히켈 저)
4. 리더: 신광영 교수
- 중앙대 사회학과 명예교수
- 전 한국스칸디나비아학회 회장
5. 인원: 12명 (신청순)
6. 참여: 무료 (참여비 없음)
7. 후원: 네트워크 RE
(www.network-re.or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