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 교구 정평위, 평신도, 남녀 수도자 단체 참여

천주교 9개 교구 정의평화위원회와 평신도, 수도자가 모인 연대단체가 2월 17일 주한 일본대사관 근처 평화비(소녀상) 옆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요구했다.

1월 22일 만들어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무효와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천주교 전국행동'(이하 천주교 전국행동)에는 지금까지 서울, 대구, 광주대교구, 수원, 의정부, 인천, 대전, 부산, 마산교구 정평위와 여자수도자 장상연합회, 남자수도회 사도생활단 장상협의회,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연합(천정연), 새 세상을 여는 천주교여성공동체가 참여했다.

권오광 천정연 대표는 "기자회견 이후 가장 중요한 것은 1월 14일 만들어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무효와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전국행동'(이하 전국행동)에 적극적으로 연대하고 참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교회가 지내는 사순 시기에 맞게 (위안부 문제에 대한) 기도문과 강론 자료, 동영상을 전국 본당에 배포할 계획"이며, <평화신문>에 활동 내용을 알리는 광고를 싣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국 천주교중앙협의회가 펴내는 <매일미사> 4월 호에 기도문을 싣는 것도 추진할 계획이다. 3월 1일 오후 1시에는 평화비 옆에서 미사를 봉헌하고 광화문광장까지 행진해 전국행동이 여는 행사에 참여할 예정이다.

▲ 2월 17일 주한 일본대사관 근처 평화비(소녀상) 앞에서 '일본군 위안부 한일 합의 무효와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천주교 전국행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강한 기자

이날 천주교 전국행동은 성명을 내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두고두고 기억하고 피해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국가 폭력이 양심을 이길 수 없다는 것을 확고히 하기 위해 위안부 제도를 전쟁범죄로 단죄해야 하고, 진상 규명과 함께 일본의 공식 사죄, 법적 배상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문제를 교과서에 기록하고 가르쳐야 하며, 추모비를 건립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이번 한일 위안부 합의는 피해자들의 목소리가 담기지 않은 것으로 무효라고 지적했다.

천주교 전국행동은 "자비의 희년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손을 잡고 자비를 실천하는 교회 공동체가 되도록 널리 알리며 솔선수범"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진행 중인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1억인 서명운동에 적극 참여하고, 피해자들의 명예, 인권회복을 위해 '일본군 위안부 정의와 기억재단' 모금에도 나서겠다고 했다.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