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은 칼럼]

오월이 본격적으로 들어서면 멀리 보이는 산이 겨우내 웅크리던 허리를 펴고 처음엔 아주 연한 연두색으로 보인다. 내가 지구에 살면서 가장 행복할 때가 지금이다. 왜냐하면 이 찬란한 오월에 울 엄마는 나를 낳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보릿고개를 막 넘어 갈 때라 엄마는 미역국도 제대로 못 잡수셨단다.

그러고 보니 울 집에서 조금만 걸어서 가면 청보리가 한참 바람결에 흔들리고 있었다. 이런 때 태어난 것은 참 좋으나 울 엄마는 나를 낳고도 제대로 끼니를 잇지 못해 젖이 부족했을 것이다.

지금도 울 엄마는 나에게 그 이야길 또 하고 또 하신다. "니가 내 젖을 많이 못 먹어서 몸이 약한거다" 다행이라면 내가 그 기억을 못하는 것일 테고, 아픔이나 상처로 남지 않았기에 이제 이 말을 들어도 별 유감은 없다.

그렇게 못 먹은 아이는 늘 잔병치레에 시달리기 일쑤였다. 늘 머리에 부스럼이 나서 헐고 나을 만하면 눈다래끼가 나서 한 쪽 눈꺼풀이 퉁퉁 붓고, 또 나을만 하면 옆 눈에 옮기고 그랬던 기억이 어슴프레 난다.

내가 살던 그 흙집은 아버지가 직접 지었다. 집에는 마당이 없었지만 마당 대신 먼산 부터 가까운 논이나 밭이 경계없이 정원처럼 들어 앉아 개울 건너가는 마을로 들어서는 길까지 지금도 선연하다.

나중에 꽃피고 새 울고 울긋불긋 꽃대궐이라는 동네에 울타리 없는 작은 흙집을 물어 물어 찾아 갔더니 내 기억에 남은 사진과 그 후에 남은 풍경은 전혀 달라, 또 이렇게 세월이 흘러 갔구나, 생각했다.

그렇다고 실망은 하지 않았다. 잠시 자리만 옮겨 내가 앉아서 먼 산 바라보는 지금, 멀리서 이 나무 저 나무에 날개를 쭈욱 펴서 드높게 나는 새 한 마리를 보고 있으니 단지 아버지는 먼저 가신 것이고, 나는 좀 있다가 떠나도 괜찮은 순서를 느낄 수 있었다.

나중에 아주 좀 먼 나중에 아버지를 만나면 드릴 말을 먼저 골라보기도 했는데, 그 대답을 상상하다보니 내가 아들이 아니라서 좀 잘 난 척 안 해도 되고, 그까짓 출세도 좀 못해도 돈 좀 못 벌어도 울 아부지 날 이해 해 주겠지, 하는 것이었다. 대장부가 되지 못해서 대대손손 이름을 빛 낼 의무도 없고, 그저 "맘 편안히 잘 살다가 왔냐?" 이렇게 환하게 웃으시면서 안부 물을 것 같다.

내 착각이라도 이렇게 생각하니 더 아버지가 보고 싶다. 사진으로 봐선 울 엄마가 나랑 똑같다고 하는데 내가 보기엔 사진사 잘못처럼 보인다. 사진 속의 나는 입도 진짜보다 작고 눈도 나보다 약간 크다. 이렇게 거울에 비친 내 얼굴을 보니 아부지가 지금 살아계시면 연세가 어떻게 되시나? 하는 생각이 든다.  

오늘 울 엄마한테 전화를 한 번 드려야겠다.

정세은 / 맨날 잠만 볼 터지게 자다가 남편에게 잠만 자는 미련한 곰탱이라고 듣습니다. 먹고 사는데 바쁘고 게을러서 제대로 된 적금통장도 하나 없고, 빚은 조금 있고, 아들 하나 딸 하나 낳고 키우며 시골에서 살지요 올 핸 아직 수다 떠느라 김장도 못하고 넘어간 수다스런 아줌마입니다. 인터넷사이트에선 '정자씨'로 통합니다.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