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뺀 해양 활성단층이 진앙지

해양 활성단층 전면 조사하라

9월 5일 오후 8시 33분, 울산 동구 앞바다에서 난 규모 5.0 지진으로 환경단체들이 이 해역 활성단층을 전면 조사하고 핵발전소 가동과 건설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이번 지진은 1970년대 이후 한반도에서 일어난 5.0이상 지진으로서 6번째다. 울산 앞바다에서는 올해만 4번 지진이 일어났으며, 2004년에는 규모 5.2 지진이 발생하기도 했다. 5.0 규모의 지진은 낙후된 건물에 금이 가는 정도의 강도다.

2000년대 들어 한반도 지진 발생이 이전보다 2배로 늘고 있는 가운데, 지진으로 인한 피해보다 더 걱정되는 것은 울산, 경주, 부산 등 인근 지역에 가동 중인 핵발전소 10기가 몰려 있기 때문이다. 

경주와 울산, 부산에는 60여 개의 활성단층이 있으며, 신고리 핵발전소 바로 옆을 지나는 단층도 있다. 이번에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승인할 때 많은 이가 이를 지적했지만 원안위와 한수원은 해양 활성단층에 대한 조사를 하지 않았다.  

환경운동연합은, 핵발전소 내진 설계는 ‘지진재해 분석’에 따라 결정되고, 지진재해 분석을 위해서는 반경 320킬로미터까지 광역조사를 하게 되어 있다면서, “그러나 핵발전소 부지 평가에는 반경 40킬로미터 내 두 개의 활동성단층만 평가해, 월성핵발전소 반경 80킬로미터 내 62개의 활성단층과 대규모 활성단층대를 배제했다”고 지적했다.

▲ 한반도 진앙 분포도. (자료 제공 = 기상청)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활성단층은 지질학적으로 50만 년 안에 활동했던 단층으로 재활동가능성이 있다. 이번 지진의 진앙지도 원자력안전기술원이 배제한 해양 활성단층 부근일 것으로 추정된다.

에너지정의행동도 성명서를 내고, 국민안전처는 기상청이 8시 36분 속보를 내 언론이 이를 보도하고 난 뒤인 8시 50분에서야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했다면서, “지진의 긴박성을 고려하면 의미 없으며, 그나마 전체 핸드폰 가입자의 20퍼센트인 3G 가입자는 문자조차 받지 못하고 있었다”,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이 구축되는 2020년까지 대책 없이 시간만 보내겠다는 태도라고 지적했다.

영덕핵발전소반대 범군민연대도 성명서를 내고, “에너지, 전력수급 계획을 전면 수정하고 영덕핵발전소 부지 지정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이번 지진의 여파는 영덕까지 미쳤다.

이들은, “이번 지진으로 어떤 자연재해나 기술적 한계도 극복하겠다는 한수원과 산업부의 근거없는 낙관에 대한 국민적 불신을 확인했다”며, “핵발전소 사고가 난다면 사실상 긴급대피 외에 인간이 할 수 있는 대처방안은 없다. 지금이라도 계획된 핵발전소 증설 계획을 철회하고 가동 중인 발전소의 조기폐쇄 계획을 수립하라”고 요구했다.

▲ 국내 지진발생 추이. (자료 제공 = 기상청)

한반도, 1990년대 이전보다 지진 발생 2배 늘어

한편,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1978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에서 발생한 2.0 규모 이상 지진은 평균 약 19회였지만, 2000년대 들어 평균 약 48회로 늘었다. 2013년에는 급격히 늘어 한 해만 93회가 발생했다.

큰 지진이 나면, 주변 지각에도 힘이 가해져 지진이 날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공교롭게도 2011년 9월 후쿠시마 지진이 일어난 뒤, 한반도 지진도 늘었다. 기상청 발표에 따르면 울산 지역 지진은 1990년대 12회, 2000년부터 2010년까지 6회였지만, 2011년부터 올해까지 6년간은 22회였다. 울산 동구 60킬로미터 해역 이내에서 올해만 4번 발생했다.

전국 지진 발생수는 1980년대 157회, 1990년대 255회, 2000년부터 2015년까지는 772회로 지진 발생률이 급격히 늘고 있다.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