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모니터링의 자료는 평화신문 9월 2일(935호)과 가톨릭신문 9월 2일(2564호), 7월 29일(2560호), 7월 1일(2557호), 6월 3일(2553호)이다.


가톨릭신문에는 있는데 평화신문에는 없는 것을 아시나요?
현재의 두 신문이 모든 면에서 흡사한 모양을 하고 있지만 특이하게도 <여론면>에서는 많은 차이점이 있다. 여론면은 통상 데스크와 외부필진의 칼럼과 독자투고로 이루어진다. 평화신문 홈페이지의 검색이 틀리지 않다면 평화신문에도 ‘독자마당’과 ‘평화네거리 칼럼’ ‘시사진단’ 과 ‘데스크 칼럼’이 있었지만 아마도 몇 번의 지면 개편을 하면서 2002년 4월을 시작으로 2006년 8월에는 모두 자취를 감추었다. 그러다보니 아래의 문구가 가톨릭신문에는 있지만 평화신문에는 없다. “외부필진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 않을 수 있습니다.” 여론면이 없는 평화신문은 정론지로서는 큰 결함이다. 하지만 오늘은 그것이 주제가 아니기에 다음 기회를 기약하자.

‘방주의 창’이라는 외부칼럼꼭지를 게재하는 가톨릭신문의 편집자는 고민이 깊을 것이다. 왜냐하면 노아의 ‘방주의 창’으로는 비둘기가 올리브 잎을 물고 와서 희망을 던졌지만, 가톨릭신문의 ‘방주의 창’으로는 때때로 왜곡된 정보와 분열의 주장이 메아리치는 것을 편집자 역시 듣고 있을 것이기에 그렇다. 공교롭게도 위에 제시한 가톨릭신문 2553호․ 2557호․ 2560호․ 2564호의 외부칼럼은 모두 현직 동아일보 편집부국장의 칼럼이다. 자, 내용을 살펴보자.

6월 3일(2553호) ‘21세기에 외치는 언론자유’에서 1987년 박종철 군 사건을 예로 들면서 ‘탁’치니 ‘억’하고 숨졌다고 보도자료를 발표해도 참여정부의 ‘선진화 방안’대로라면 언론은 여기까지밖에 쓸 수 없다고 말한다. 어이없다. 기자를 ‘바보’로 만든 것은 오히려 그(녀)다. 현직 대통령에게 좌파 빨갱이라는 표현을 하는 나라가 ‘언론 자유’가 없다고 현직 언론인이 말한다. 억지도 이쯤되면 대단해요~(!)
 

7월 1일(2557호) ‘교육개혁, 교사부터 달라져야’에서 “전국에서도 뛰어나다는 고교의 1등과 시골학교 1등이 똑같이 취급되는 게 공평하다고 할 수 없다”고 하지만 그것은 시골학교에 대한 지독한 폄하의 말이며, 서울을 제외한 모든 곳을 ‘시골’로 부르는 희한한 논리의 일종이다. 또한 “진정으로 공교육의 질을 걱정한다면 대학을 들볶을 게 아니라 중 고등학교를 들볶아야 한다.”라고 이상한 대책을 내세우며,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이들에게 “당신의 인성은 완벽한지 묻고 싶다”는 신경질적 반응도 칼럼에서 숨기지 않는다.

7월 29일(2560호) ‘학벌타파냐, 위조타파냐’에서 학력(學力)이 아닌 학력(學歷)을 고백한 사람에게 “가짜가 자수를 하고 나섰다”는 안기부 수사관식 용어를 사용한 그(녀)는 “더 많이, 더 열심히 공부한 사람들이 거꾸로 차별받는 사회가 정의롭고 공정하다고 할 순 없지 않은가”라고 갑자기 획기적인 반문을 던진다. 그러고는 “좋으신 하느님은 이런 문제를 어떻게 풀었는지 궁금해진다”라는 ‘신정론’의 신학문제인지, ‘하느님을 시험하지 마라’라는 말을 듣는 대상자인지 알 수 없다.

9월 2일(2564호) ‘민주화, 필연 아닐 수 있다’에서는 심각하다. ‘남북경제 협력사업’을 ‘일방적 퍼주기’라고 전하고 있다. 남북간의 신뢰와 이해를 높이고 서로의 경제 여건을 활용하여 쌍방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고 민족경제공동체 형성의 기반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철도․도로연결, 개성공단 개발, 금강산관광 등 3대 경협사업이 퍼주기라 하면 도대체 무엇으로 경제협력을 할 것인가? 2564호에서는 북측 수해 돕기 기사가 곳곳에 있는데 그(녀)는 “끝없는 사랑을 베푸는 것은 오히려 폭정을 부추기는 반민족행위”라고 한다. 모금하는 주교회의 사회복지위원회 유흥식 주교님 조심하세요!


분명히 하자. 외부필진의 원고는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지만 신문에 실린 모든 글에 대한 편집자의 책임은 무한정이다.

 

/김유철 2007-09-02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