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죄 없는 역사의 죄인, 전두환을 규탄한다”
5.18 등 관련 11개 시민단체 유족의 사죄, 가해자 부정축재 환수 특별법 제정 등 촉구
1979년 12.12군사반란과 1980년 5.18광주 민주화운동 유혈 진압을 주도한 전두환 씨가 진상 규명과 사죄 없이 사망한 데 대해 5.18민주화운동서울기념사업회 등 11개 피해 당사자 및 시민단체가 이를 규탄했다.
이들은 25일 전두환 씨 빈소가 있는 서울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앞에서 성명을 내고 “이제라도 전두환 유족은 5공 피해자들에게 사죄하고, 불의한 재산을 피해자와 대한민국에 환원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5.18, 삼청교육대, 학생 강제징집 및 녹화사업, 간첩조작 사건, 백골단에 탄압받은 노동자와 철거민, 해직 기자와 공무원 등 오랜 세월 고통받은 “피해자들에게 일말의 사죄와 반성 없이 잘못 주어진 사면의 열매만 누리던 전두환은 학살자이자, 민주주의 및 인권의 반인도적 죄인으로서 지옥의 심판이 기다리는 저승으로 떠났다”고 일갈했다.
또 지난 20대 국회에서 발의됐다가 회기 종결로 자동 폐기된 5.18 가해자 부정축재 환수 특별법 제정을 다시금 촉구했다. 이들은 “전두환 일당은 저마다 거부를 쌓았고, 특히 그들의 숨겨진 재산은 5.18을 왜곡선전하는 자들의 만행에 지속적으로 자금원이 돼 왔다”면서 “이제라도 국민들을 학살하고 탄압해 얻은 불의한 대가는 피해자와 국민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전 청와대 공보비서관이자 전 씨의 측근인 민정기 씨 발언도 비판했다. 민 씨는 전 씨가 사망한 23일 5.18 관련 사죄 문제에 대해 “33년 전 11월 23일 백담사를 가던 날 성명에도 발표했고, 여러 가지 미안하다는 뜻도 밝혔다. 광주 청문회 때도 그런 말을 여러 차례 했다”고 발언한 바 있다.
5월 단체 등은 “5공 피해 당사자들은 지난 41년간 그 어디에서도 전두환에게 사과 비슷한 것도 받아 본 적이 없다”면서 “아직도 전두환 추종자 무리들은 1997년 대법원에서 유죄 확정판결을 받고도 일말의 공식 사과도 없다. 오히려 그들은 수구 세력을 부추겨 41년간 5.18과 5공 피해자들에 대한 왜곡, 폄훼 세력의 뒷배로 작용해 왔다”고 말했다.
단체들은 이날 성명서를 전 씨 유족에게 전달하려 했으나 유족이 수령을 거부했다.
이날 이적 회장(삼청교육대 전국피해자연합회)과 최수동 회장(5.18서울기념사업회)의 발언도 이어졌다. 이들은 국가 폭력에 대한 진상 규명, 진정한 사죄와 배보상 문제 등이 전 씨의 죽음으로 가려질 수는 없다면서 이에 대한 신속한 처리를 국회와 정부에 촉구했다.
전두환 씨는 죽기 전까지 5.18 헬기 사격을 부인하고 고 조비오 신부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었으며, 956억에 이르는 추징금도 미납 상태였다. 전 씨의 죽음으로 명예훼손 형사재판은 공소 기각되며, 미납 추징금을 포함한 민사 재판을 유족이 이어받는다면 계속 진행된다.
이번 성명에는 (사)5.18민주화운동서울기념사업회, (사)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 서울지부(사), 5.18민주화운동구속부상자회 서울지부, 삼청교육대 전국피해자연합회, 강제징집 및 녹화선도공작 진실규명추진위원회, 김사복추모사업회, 안병하기념사업회, 평화재향군인회, 법치민주화무궁화클럽, 국가공무직노동조합, 경찰청공무직노동조합이 참여했다.
앞서 전두환 씨가 사망한 23일에는 5.18민주유공자유족회,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 5.18구속부상자회, 5·18기념재단이 즉각 입장을 발표했다.
이들은 “우리는 시민 대학살자 전두환의 고백과 참회, 사법부의 엄벌을 강력히 촉구해 왔다. 그동안의 재판이 대한민국 헌정사를 유린하고 무고한 시민을 학살한 책임자에게 엄중한 법적 책임을 묻는 ‘역사적 심판’이 되기를 기대해 왔지만 그의 죽음으로 이 마저도 기대할 수 없게 되었다”면서 “하지만 우리는 오월학살 주범들에게 반드시 책임을 묻고, 만고의 대역죄인 전두환의 범죄행위를 명명백백히 밝혀 역사 정의를 바로 세워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