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과 교회]11월 30일자 996호 <평화신문>과 2625호 <가톨릭신문>

 

평화신문 1면 

『사목교서』보도시점은 언제인가?


대림을 맞는 천주교인이 하는 일은 다양하다. 무엇보다 교구를 책임지는 교구장은 전례력으로 맞이하는 새해의 사목교서를 발표하고, 단위 본당의 성직자와 평신도 대표들은 성탄준비와 함께 새해 살림살이 챙기기에 분주할 것이고, 제대 장식의 소임을 맡은 이는 대림 환과 초를 준비할 것이다. 교우들 역시 각자의 한 해를 마무리하는 정리와 함께 성탄과 새해준비를 할 것이다.

조직인으로서 천주교인은 무엇보다 교구장의 신년 사목교서에 대한 관심이 크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사목교서에 대한 관심의 비중은 그리 높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늘 구두선에 그치는 일이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얼마 전 ‘우리신학연구소’는 사목교서에 대한 분석자료를 내놓은 바 있다. 당시 연구소가 내놓은 자료를 보면 군종교구를 제외한 15개 교구의 2000~2008년의 사목교서를 분석한 바 있다. 또한 각 교구의 사목교서가 보다 교구민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위한 제언과 홍보에 대한 방법도 연구하였다. 그러나 그런 분석 자료에 대한 교계신문의 보도 및 관심은 턱없이 모자랐다. 교구들은 말할 것도 없고..

대림 제1주일을 맞아 2009년도 사목교서가 각 교구의 교구장 명의로 발표하였다. <평화신문>은 이를 1면 톱과 2면에 해설기사를 실었지만 웬일인지 <가톨릭신문>은 보도하지 않았다. 아직 각 교구의 자료를 취합하지 못한 것인지 사목교서에 대한 관심이 없어서인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대림1주일 신문에는 당연히 실려야하는 기사였다. 유감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참고로 <가톨릭신문>은 작년 대림1주일 신문(2576호)에서는 14-15면의 전면을 할애하여 16개 교구의 사목교서 요지를 독자들에게 전해준 바 있다. 하기는 16개 교구의 홈페이지 중 태반이 자기 교구장의 사목교서를 대림을 맞이하고도 실지 않는다. 한심한 교구들이 하나둘이 아니다. 주일은 휴일이 아니다.


‣ <평화신문>은 서울교구만의 기관지가 아니지 않는가?


지난 7월의 <미디어 흘겨보기>에서 서울교구의 동정보도와 관련하여 “서울교구는 한국천주교회의 대표가 아니다”라고 쓴 적이 있다. 그러나 오늘은 다른 측면에서 “16개 교구 대표는 서울교구가 아니다.”라고 말할 이유가 생겼다. <평화신문>은 1면 톱의 표제를 “가정에서 순교자정신 구현”으로 뽑았다. 그러나 이것은 서울교구장의 사목교서에서 일부분이다. 톱의 표제는 기사의 핵심 혹은 공통된 결론이 합당하지 않겠는가? 서울교구장 사목교서의 일부분이 그 기사의 부제로 뽑은 ‘전국 교구장 대림 1주일 맞아 새해 사목교서 밝혀’를 대표하는 헤드라인이 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는 19개의 교구가 있다. 그중 지금으로서는 상징적인 평양교구, 함흥교구, 덕원 자치 수도원구를 제외하면 16개의 교구로 이루어져 있다. 천주교의 교구체제는 상하의 구분 없이 동등한 입장에서 교구장의 자치행정이 이뤄지는 곳이다. 현실적으로 서울이 대한민국의 수도이고, 돈과 사람이 몰리다 보니 서울민국이란 비아냥거림을 받는 것 또한 사실이지만 천주교계마저 그것을 따라갈 이유는 하등 없을 것이다. 더욱이 <평화신문>은 서울교구, <가톨릭신문>은 대구교구의 개별 교구 기관지가 아니지 않은가? 두 교계신문은 한국천주교회의 양대 신문이다. 스스로 관할지역을 좁히고 싶은 것인가?

16개 교구에 대한 동등한 대접은 이런 무의식적 습관성 관점의 시정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누구도 서울교구를 16개 교구의 대표라 말하지 않는다. 일부 서울교구민을 제외한다면 말이다. 일반사회도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논의가 분분하다. 그러나 천주교계 안의 교구의 벽은 일반인이 상상하는 이상으로 높다. 그러기에 지역균형이란 용어는 교회 안에서는 생뚱한 표현이고 오직 각 교구의 각개전투만이 있을 뿐이다. 지독히도 작은 나라에서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늘 한국천주교회안에는 대표 아닌 대표가 있어왔다. 그런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역할을 교계신문이라 불리는 언론이 스스로 불러들인 것은 아닌가? 결국 교회언론이 서울교구를 영원한 반장으로 만든 것이다.
 

 

 

 

 

 

 




‣ 사진자료와 기사의 대조는 누구 책임인가?


신문을 만들다 보면 ‘실수’가 따를 수 있다. 신문사 내부사정은 모르지만 그렇게 많지 않은 인원이 매주 기사를 생산하다 보면 오류도 범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을 발행 전에 발견해내는 이른바 데스킹의 중요성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이미 나간 기사의 잘못은 추후 ‘정정보도’ 혹은 ‘사과의 말씀’이라도 있어야 하는 것은 신문의 기본이다. 여기에 대해서는 그동안 <미디어 흘겨보기>에 몇 번 ‘보너스’란 이름으로 지적한 바도 있다. 그러나 지적된 오류에 대한 사과 혹은 해명 등은 없었다.

바티칸에서 11월 12~15일 열린 ‘교황청 평신도 평의회 제23차 정기총회’의 기사가 양 신문에 모두 실렸다. <평화신문>은 7면 4단으로 사진을 포함하여 기사를 실었고, <가톨릭신문>은 1면 4단으로 사진 없이 보도하였다. 그런데 <평화신문>이 사용한 사진의 설명에는 평신도 평의회라고 나와 있지만, 공교롭게도 같은 사진이 <가톨릭신문> 10면에서는 지난 10월에 열린 제12차 세계주교 시노드 사진으로 사용되었다. 8명의 추기경과 3명의 대주교가 참석한 평신도 평의회인데 사진에 주교들이 빽빽하게 보이는 것으로 보아서는 누가 실수한 것인지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다음 주에 해당 신문의 해명을 기다리겠다. 조금 더 긴장감 있게 기사와 사진을 다루어야 연륜에 맞는 신문이 될 수 있다. 그래도 교회기관지 아닌가? +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