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모니터링 자료는 9월 28일자 987호 <평화신문>과 2616호 <가톨릭신문>이다.


2007년 8월 19일자 ‘대선주자에게 듣는다’를 통해 <평화신문>은 가톨릭교회가 갖고 있는 사회적 현안 6가지를 물었다. 6가지는 ▲사형제도 ▲배아줄기세포 연구 ▲모자보건법 ▲사립학교법 ▲종교인 과세 ▲제한적 미디어 렙이 그것이다. 그 중 일반인들에게는 생소한 질문이 있었다. ‘제한적 미디어 렙’이 그것이다. 용어자체도 생소할 뿐만 아니라 그것이 무슨 연유로 가톨릭교회의 사회적 현안인지는 더더욱 알 수 없었다. 아무튼 <평화신문>은 8월 19일자에서는 한나라당 경선후보와 10월 14일자에는 대통합민주신당의 경선주자를 상대로 같은 질문을 하였다.

이후 대통령선거를 눈앞에 두고 <평화방송>은 대선후보들과 대담을 가졌고, <평화신문>은 이를 12월 2일과 12월 9일 지면에 옮긴바 있다. 그러나 이때도 이상했던 것은 대담을 가진 네 후보(권영길․ 문국현․ 이회창․ 이인제)중 위의 가톨릭교회가 갖고 있는 사회적 현안 중 ‘제한적 미디어 렙’에 대한 질문은 지면상으로는 권영길후보에게만 했다. 현안에 대한 의미가 문제가 있어 보였다. 급기야 빅2라고 할 수 있는 이명박후보와 정동영후보와의 대담은 12월 16일자에서 대담이 취소되었다고 한 바 있다.

결국 12월 19일 대통령선거를 통해 한나라당 이명박후보가 당선되었다. 그러나 겸연쩍게도 대통령당선인으로서 12월 24일 첫 언론 단독대담이란 <평화신문>의 자랑스러움에도 불구하고 당선인에게 가톨릭교회의 현안질문은 하나도 하지 못한 채 메리크리스마스 덕담으로 이루어진 대담을 1월 1일자 신년호에 소개한 바 있다.

만약 ‘제한적 미디어 렙’이 정말 가톨릭교회의 중요한 현안이었다면 그 후 당선자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관계자와 신정부의 국무총리 혹은 문화부장관등이 방문하였을 때 서울교구는 당사자들에게 가톨릭교회의 의지를 단단히 일렀어야 했다. 누가 울지 않는데 떡을 주겠는가? 다시 2007년 8월 19일자 ‘대선주자에게 듣는다’로 돌아가 보자. 당시 한나라당 경선후보였던 이명박후보는 분명히 “경쟁체제 도입은 많은 경우 효율을 높이는 방안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종교ㆍ공익방송의 경우 종합적 검토가 필요하다. 종교 및 순수공익방송에 대해서는 예외를 둘 것을 고려해야 한다.”라고 답변한 바 있다.

<평화신문>은 이번 주 987호에서 정부의 ‘민영 미디어 렙’ 정책에 대하여 작심한 듯 보도를 하였다. 1면 종교․ 지역방송사 미디어 렙 도입 저지 공동대응 “방송 독․과점 강화 안된다” 2면 사설 ‘상업주의 방송만 부추길 미디어 렙’ 아울러 2면에는 이와 관련된 5단 통 광고가 CBS․ 불교방송․ 원음방송․ 평화방송 명의로 실렸다.

자, 독자들은 이쯤해서 더는 참지 못하고 이구동성 말을 할 것이다. “도대체 미디어 렙이 무엇인가?” 몇 년 전에 어떤 TV광고에서 주부들이 한참 투자에 대해서 말한 뒤 한 주부가 “코스닥이 뭐야?”라고 살짝 물어보던 장면이 생각이 난다. 애초에 <평화신문>은 ‘미디어 렙’을 독자들에게 설명했어야 한다. 그러나 미디어 렙은 ‘Media Representative의 줄인 말로 흔히 광고업계에서 매체대행사라 불린다.’는 사전적 의미를 설명하라고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런 것은 현재의 코바코(KOBACO)시스템과 함께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인터넷 검색만으로도 알 수 있는 내용이다. 그렇다면 언론사로서는 애초부터 이 문제를 내 집 뜰에 누군가 발을 들여놓는 것을 거부하는 님비주의로 접근해서는 안 될 일이었다. 직접적으로는 종교 및 지방방송사의 광고수익구조와 연관되어 있지만 왜 이명박정부가 이토록 방송장악과 관련하여 몰입하는 지의 큰 그림을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동의를 얻어야 하는 것이 우선이다.

또한 민영 미디어 렙를 추진하는 실무책임은 문화체육관광부와 방송통신위원회에 있다. 지난 9월 17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보고에서도 두 기관의 장에게 질문이 집중되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화신문>의 보도에서는 정부․ 여당이란 두루뭉술한 표현으로 책임소재가 불명확하다. 더욱이 2면에 실린 종교방송사의 광고가 기획재정부 장관의 퇴진을 요구하니 더욱 헷갈리지 않을 수 없다. 지금이라도 대선주자로서 답을 한 이명박대통령에게 8월 19자 신문을 근거로 재질의 하여 보라. “종교 및 순수공익방송에 대해서는 예외를 둘 것을 고려해야 한다.”라고 했던 말을 기억하느냐고 말이다. 또한 애초부터 <평화신문>은 이 문제를 ‘가톨릭교회의 현안’이라고도 표현 할 정도인데 <가톨릭신문>의 뒷짐은 의아할 정도이다. 웬만하면 도와주시라. 보기 안쓰럽다.

공부합시다!

미디어 렙(방송광고 판매대행사)

방송사를 대신해 광고주에게 광고를 판매하고 수수료를 받는 방송광고 판매대행사다. 기존에는 1981년 설립된 코바코(KOBACO)가 모든 지상파 방송사(현재 37개 채널)의 광고 판매를 대행했지만, 미디어 렙은 개별 방송사가 개별 대행사를 통해 광고를 수주하는 것이다. 코바코는 <KBS><MBC><SBS> 등 지상파 방송 3사 광고와 나머지 방송사 광고를 연계 판매하는 방식으로 전체 광고물량의 10~15%를 지역방송과 종교방송 등에 나눠주고 있다.

민영 미디어 렙 도입 이유 :

미디어렙 도입론의 핵심은 방송의 디지털화에 따라 매체 수는 늘어나는데 이를 감당할 수 있는 자본력이 방송사에는 없다는 사실에서 출발한다. 이는 코바코의 독점으로 방송광고비가 시장가격에 비해 낮게 책정되어 왔기 때문이며 따라서 광고시장을 경쟁체제로 바꿔야 한다는 것이 표면적 이유 중 하나이다.

민영 미디어 렙 반대 이유 : 방송 시장에서 경쟁이라는 말 속에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좋은 프로그램보다는 재미있는 프로그램이라는 말이 더 가깝게 다가온다. 아무리 좋은 프로그램이라도 재미있는 프로그램을 당하지 못하고 민영 미디어 렙이라는 게 도입되면 결국 좋은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이 더욱 인색해지고 사회와 우리들의 정신에 방송의 자양분은 사라지고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프로그램만 늘어나지 않을까 우려하기도 한다. 결국 민영미디어렙 도입이 광고유치를 위한 방송사들의 무한경쟁으로 이어질 경우 방송의 상업주의와 선정주의 심화가 불 보듯 하고, 종교 및 지역방송들의 설 자리가 없어진다면 이는 언론탄압에 다름 아니라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미디어 오늘> 및 http://cafe.daum.net/bgnetoc 참조)

김유철 2008-10-01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