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모니터링 자료는 3월 9일자 960호 평화신문과 2589호 가톨릭신문이다

이명박정부가 출범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2월 25일 국회 본청 앞에서 제17대 대통령 취임식을 갖고 5년 임기의 대통령으로서 직무를 시작했다. 또한 새 정부의 국무위원으로 일 할 각 부처 장관 내정자에 대한 명단은 이미 대통령당선자로서 2월 19일에 15명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몇몇 장관은 국회 청문회 이전에 사퇴를 했고, 현재(3월 10일)까지도 새 정부는 제대로 작동을 못하고 있다. 그건 그들의 일이라 관여할 바가 아니고...

소위 사회지도층에 천주교 교우가 많은 것은 자랑이 아니라 경고

새 정부는 장관 내정자들을 발표하면서 ‘땅부자 내각’이라는 비난을 받기 시작하더니 급기야 애꿎은 연예인들의 이름에 빗대어 ‘고소영’ ‘강부자’ 전성시대란 비아냥까지 받고 있다. 문제는 ‘고소영’의 ‘소’에 있다. 독자들이 알다시피 여기서 말하는 ‘소’는 서울 강남구 소망교회를 말한다. 하지만 소망교회가 뜬 것은 이명박정부에 와서가 아니다.

지난 2004년 총선 후 17대 국회의원에 관한 자료(동아일보 2004년 5월 7일 A17)를 다시 살펴보자. “국회의원 당선자중 교회별로는 서울 강남구 소망교회가 정몽준 이상득 김원기 홍창선 정덕구 박세환 김효석 등 7명의 당선자를 배출해 1위를 기록했다. 서울 서초구 사랑의 교회가 5명, 경기 수원시 중앙침례교회가 3명으로 뒤를 이었다.” 그 기사는 사실 ‘제17대 국회의원 299명중 종교인은 얼마나 될까’란 기사였다. 그 내용 중에는 ‘각 교계가 집계한 종교별 의원 수는 개신교 103명(34.4%), 천주교 70명(23.4%), 불교 34명(11.4%)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신교는 국민일보, 천주교는 가톨릭신문, 불교는 불교신문이 각각 집계한 숫자다. 전체 의원 중 3분의 2가 종교를 가진 셈이다.

한국갤럽의 조사에서 전체 인구 중 각 종교의 신자 비율이 불교 25%, 개신교 20%, 천주교 8%로 추산되는 것과 비교해 보면 종교별 의원 비율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어서 분석을 통하여 인구 대비 신자 비율보다 훨씬 많은 당선자가 나온 천주교는 16대(66명) 때보다 4명이 늘었으며 신자 비율에 비해 천주교 신자 당선자가 많은 이유는 사회지도층이 천주교에 대해 호감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덧붙였다.

천주교 교우 국회의원과 고위 공직자가 많은 것은 자랑스러운 일인가? 물질 만능주의와 1등 지상주의가 휩쓸고 있는 이 시대에 소위 사회지도층에 천주교 교우가 많은 것은 자랑이 아니라 경고이다. 하느님을 섬기고 몸과 마음으로 실천하는 신앙인이 사회지도층에 있다면 우리 사회는 좀 더 건전하고 건강해져야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일반국민은 가진 것도 없고, 신앙심도 없는 별 볼일 없는 인생(?)

새 정부 인사들의 약력이 일반 언론에 소개될 때 종교에 관한 말이 나오면 ‘독실’하다는 표현은 빠지지 않는다. 사회양극화는 신앙심으로 해결된다는 신임 어느 장관의 표현대로라면 일반국민은 가진 것도 없고, 신앙심도 없는 별 볼일 없는 인생이 되고 만다. ‘독실’하다는 사람들이 공직자 청문회에서는 뭔 하자가 그리도 많은지...

3월 9일자 <평화신문>은 이와 관련하여 19면에 한승수 국무총리와 김경한 법무부장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약력과 유인촌 장관이 정진석추기경을 예방한 기사를 실었다. <가톨릭신문>은 21면에 같은 내용으로 유 장관의 예방을 전하였다. 공직자들의 이름 뒤에 붙은 세례명을 볼 때 우리는 아무래도 친밀감을 느낀다. 교계잡지인 <생활성서>에 오랫동안 연재되었던 ‘아, 교우시군요’라는 꼭지가 생각난다. 필자는 그 꼭지를 볼 때마다 ‘아, 신자시군요’가 아니라 ‘아, 교우시군요’라고 붙인 편집자의 지혜에 감탄하곤 하였다.

우리는 어쩌면 천주교식 같은 세례를 받은 교우일 뿐 ‘신자’-믿는 자-는 하느님의 판단이실 것이다. <평화신문>이 한승수 국무총리에게 붙여준 ‘겸손한 신앙인’이라는 단어는 지금까지의 삶을 본 것이 아니라 앞으로 공직생활 안에서 그렇게 행하라고 붙여 주었다면 오독일까? 국회의원 3분의 2가 종교인인 나라, 대통령을 비롯한 장, 차관 등 고위공직에 종교인이 다수인 나라, 각 종교의 복음화(?)가 소원 성취된 나라이다. 그들이 어떤 종교를 갖고 있느냐보다 각 종교의 가치를 의정활동과 국정에 어떻게 실현하느냐를 교회의 눈으로 바라보는 것은 교회언론의 중요한 몫이다. 그러고 나서 그들을 ‘신앙인’이라고 불러도 늦지 않다.

/김유철 2008-03-12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