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모니터링 자료는 3월 2일자 2588호 가톨릭신문과 959호 평화신문이다.


기사를 작성하는 기자가 보도 자료에 의존할 때도 있고 혹은 현장에서 취재한 것을 바탕으로 쓸 때도 있다. 어떤 경우가 되던 기자는 단순한 사실보도를 하더라도 기사거리에 대하여 다양한 취재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사를 편집부로 넘겨서 제목을 딸 때에도 (혹은 신문사에 따라 기자가 직접 정하기도 하는 제목이) 자신의 의도와 맞는지 혹은 기사의 내용과 제목이 합일하는지를 챙겨야 할 것이다. 이번처럼 보고서가 제출된 회의의 소식을 전할 때는 자료에 대한 충분한 전달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지면관계상 자료의 인용이 불가능한 경우라 하더라도 정확한 파악에 따른 전달이 독자들을 대신하여 주는 언론의 역할이라 할 수 있다.

<가톨릭신문>과 <평화신문>은 3월 2일자에 모두 지난 2월 20일에 열린 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회(이하 민화위) 전국회의 소식을 전하고 있다. <가톨릭신문>은 22면에 ‘새터민 입국 초부터 선교를’으로 보도하였으며, <평화신문>은 3면에 ‘북녘 복음화 새 방안 모색’과 6면에는 회의에 제출된 <북한 종교 자유 2007 연례보고서-북한종교자유 실태>의 분석 기사를 실었다.

먼저 <가톨릭신문>을 보자. <가톨릭신문>은 민화위가 전국회의를 했고, 주제발표에서 나온 이야기의 핵심은 새터민의 입국 초부터 선교활동과 교회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거기에는 개신교와의 비교를 덧붙였다. 글쎄, 회의에서 논의 된 것이 그것이 전부였을까? <가톨릭신문>은 <북한종교자유 실태>보고서에 나온 수많은 자료 중 왜 입국초의 선교문제가 제일 먼저 눈에 띠었을까? 신문의 정체성을 확실히 한 것은 나무랄 일이 아니지만 본질이 아닌 문제로 전국회의를 전하는 것 같아 아쉬움이 남는다.

다시 <평화신문>을 보자. <평화신문> 3면의 관련보도 제목을 보는 순간 먼저 호기심이 떠올랐다. ‘북녘 복음화 새 방안 모색’이 나오려면 기사에서는 기존의 북녘 복음화 방안이 무엇인지 제시 되어야 한다. 그래야 비교가 가능한 것이다. 그렇지 않고 만약 현재 복음화 방안이 없이 새로운 것이 모색된다면 제목이 틀린 것이다. 기사 안에는 어디에도 기존 방안도 없고 그렇다고 새 방안도 없다. 또한 기사에서 한 줄로 나온 ‘북녘 종교정책 변화’가 무엇인지도 독자로서는 알 수가 없다. 만약 그 변화라는 것이 6면에 있는 분석기사에서 짧게 나온 ‘2003년 이후 탈북자의 답변을 근거로 한 종교시설 방문이 제한적이지만 이뤄지고 있다.’는 말의 연장선이라면 6면의 기사 제목(‘종교자유, 북에서는 남의 말’)은 더욱이 잘못된 것이다. 3면에서는 그것을 바탕으로 ‘(북녘 종교정책 변화로) 북녘 복음화 새 방안 모색’이라 하고서는 6면에서는 ‘종교자유, 북에서는 남의 말’이라는 어두컴컴한 제목으로 해놓았으니 말이다. 스트레이트 기사에서는 희망적이고, 해설기사에는 절망적이라면 기사는 춤을 추고 있는 것이다. 만약 애초에 3면에서 말한 것이 6면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지 않았다면 이도 저도 아닌 혼란만 있는 것이다. 

 


우리가 말하는 종교 자유가 그들과 다른 것은 누구나 아는 문제이다. 그래서 북을 방문하는 성직자들은 천주교신자라고 고백하는 조선카톨릭협회 사람들이나 평양의 장충성당 신자들에게 미사 중의 영성체에 있어서 갈등을 빚고 있는 것이다. 두 신문이 짧은 기사 안에서 그들을 ‘북한, 북, 북녘’이라 다양하게 부르는 것처럼 용어를 비롯해 남과 북에게는 쉽지 않은 일들이 놓여 있다. <가톨릭신문>이 말하는 ‘선교’보다, 평화신문이 말하는 ‘종교 자유’보다 ‘이미 와있는 하느님’을 어떻게 더불어 나눌 수 있을까 하는 것이 교회가 고민해야하는 사목이다. 고민의 대상을 명확하게 보지 못하는 연구자나 구성원들에게 고민을 알려줘야 하는 것은 눈 밝은 언론이다.
/김유철 2008-03-05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