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모니터링 자료는 2월 24일자 958호 평화신문과 2587호 가톨릭신문이다.

평화신문 11면


새 정부가 출범한다. 새로운 것은 늘 희망을 내포하고 있다. 설레임이라는 아름다운 단어와 낯설음이라는 수줍은 단어가 봄이라는 계절과 어우러졌으면 좋겠다. 그런 의미에서 대선과정의 우여곡절을 차치하고 새 정부의 출범이 국민에게 희망과 새로운 출발의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그렇지만 유감스럽게도 새 정부가 내건 단 한 가지 구호가 교회신문의 태클에 걸렸다. 그 구호는 선거과정에서 이미 선보였고 많은 국민이 열광한 ‘경제살리기’였다. 이 말은 점점 변형되고 가공되어 “경제를 꼭 살리겠습니다.” “경제 하나만큼은 책임지겠습니다.”란 말로 국민들의 가슴에 거품을 형성하고 현재도 그 거품은 계속 커지고 있는 중이다. 새 정부의 출범시기에 교회신문들이 작정이나 한 듯이 정권의 ‘경제논리’에 멋진 슬라이딩 태클을 가한 것은 이단옆차기 만큼이나 통쾌한 것은 아니지만 “우리도 비판기능을 겸비한 언론이야!”라는 것을 여지없이 보여주었다.

<평화신문>은 2월 24일자 2면 새 정부의 ‘한반도 대운하’ 추진을 보며(사설), 3면 대운하 건설 철저한 검증 필요(박스기사), 11면 ‘한반도 대운하’ 집중 점검-이 땅에 평화를(전면기사)과 주교회의 환경소위 긴급안건 상정(박스기사)을 실었으며, 가톨릭신문은 같은 날짜의 2면 주교회의 환경소위(전달기사), 22면 ‘생명의 강을 모시는 사람들’ 도보순례단(전달기사)을 실었다. 그런가하면 <가톨릭신문>은 1면 경제논리에 밀려난 수도영성(전달기사), 4면 수도원들의 절박한 사정(사설), 12면 기업 횡포로 수도생활 존폐위기(특집기사), 21면 수도원주변 조선소 건립 반대-마산교구 유영봉 몬시뇰 인터뷰를 통해 또 다른 경제논리로 위협받는 종교공간의 문제점을 지적하였으며, 17면 경제논리로 생명훼손 괜찮다?(전달기사)에서는 복지부의 모자보건에 대한 공청회 역시 같은 맥락으로 해석하였다. 

 


무엇보다 사실보도인 전달기사(스트레이트)에서 두 신문은 한반도 대운하와 관련된 주교회의 정평위 환경소위의 긴급안건 상정을 통해 교회의 가르침을 전달하고자 했다.(<평화신문> 11면, <가톨릭신문> 2면) 결국 교회의 가르침은 사회교리와 직결되어있다. <평화신문>이 2면 사설을 통해 ‘간추린 사회교리 470항’을 인용하여 보편적 공동선의 입장을 제시한 것은 상당히 사목적이다. 이어 <평화신문>은 11면의 전면을 할애하여 ‘한반도 대운하’를 집중 점검을 하였다. 기사는 대운하를 추진하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구상과 종교계와 환경단체, 학계의 상반된 주장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운하건설 반대측의 의견에 비중을 둔 것을 숨기지는 않았다. 문제는 경제논리를 내세운 새 정권에 대하여 ‘한반도 대운하’가 경제성이 낮다는 의견으로 맞서는 것은 같은 경제논리의 접근에 불과한 것이다. 자연과 환경 그리고 생명에 대하여 ‘경제논리’ 자체가 모순이며 폭력과 다름 아님에 대한 여론을 형성해야 할 것이다.

<가톨릭신문>이 비록 대운하와 관련되어서는 소극적 기사 전달에 그쳤지만, 또 다른 측면의 경제논리를 앞세운 종교 공간에 대한 위협기사는 시대의 징표까지 읽을 수 있다. 지자체의 기업유치라는 ‘합법적’ 허울 앞에 마산의 수정 트라피스트 수녀원과 고성의 가르멜 수녀원, 올리베따노 수도원이 위협을 당하고 있는 것이다. 새만금이 농업용지 확보라는 명분으로 시작하여 이제는 서해의 두바이로 변질될 때 극히 일부의 사람을 제외하고는 교회인들은, 교회언론은 아우성치지 않았다. 예언자의 눈으로 징표를 식별하지 않았고, 기도하지 않았고, 가슴 치지 않았다. 결국 그러다 엉뚱한 봉쇄수도원으로 세상의 ‘경제논리’라는 폭탄이 떨어지기 시작한 것이다. 보이지 않는 존재를 하느님으로 고백하는 그리스도인답게 무심한 산과 강의 소리를 들어보자. 두고두고 이 땅에 살게 될 후손들의 소리를 들어보자. 그곳에 교회언론의 사자후가 터져나오길 기대한다. “경제논리, 개발논리, 너흰 아니야!” 

/ 김유철 2008-02-27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