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문수의 교회문화 이야기]

다들 마찬가지겠지만 필자도 지금 같으면 하지 않았을 실수나 잘못한 일을 두고 후회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어떨 때는 그런 과거를 떠올리다 얼굴이 화끈거리는 경험을 하기도 한다. 필자는 사람이 모자라 이런 기억들이 유독 많다. 할 수만 있다면 이런 기억을 다 지워버리고 싶은 게 솔직한 심정이다. 늘 후회 없이 멋진 모습으로만 남는 방법을 알고 싶은데 쉽지 않다.

지금 훌륭하니 과거도

몇 년 전에 정부기금을 지원받아 ‘근현대 사회문화적 변동기의 가톨릭교회’에 대한 사회조사를 실시한 적이 있다. 이 조사결과에서 흥미로웠던 것은 천주교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인상이 매우 호감적이고 긍정적이라는 사실이었다. 너무나 과분하여 송구할 정도였는데 더욱 흥미로웠던 것은 과거를 평가하는 항목에서도 이런 평가가 나타난 것이었다. 즉 현재 잘 하고 있는 모습을 보니 과거에도 분명히 잘 했을 것이라고 평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이다. 마치 그렇게 멋진 사람이 혹은 훌륭한 사람이 과거에 그랬을 리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과 같은 것이겠다.

뜬금없이 이런 이야기를 꺼낸 이유는 최근 교회 안에서 과거사의 인정여부를 놓고 설왕설래가 있어서다. 필자도 마찬가지지만 현재의 모습을 그럴듯하게 생각하고 그렇게 자의식을 갖는 경우에는 감추고 싶은 과거를 영원히 드러내고 싶지 않은 게 인지상정이다. 게다가 이것이 지금의 나와 직접 관련이 없는 부모나 조상의 일이라면 더욱이 그럴 것이다. 과거사에 대하여 당사자와 후손들이 보이는 반응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이러한 일들이 있을 때마다 우리가 자주 보아온 모습은 ‘왜 하필이면 우리 집안(나)인가?’ 혹은 ‘하필이면 왜 우리 종교인가?’ ‘당시 그렇게 안 한 사람이 어디 있으며 그러한 일을 피할 수 있었던 종교가(사람이) 어디 있었던가?’ 하면서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거나 노골적으로 적대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었다. 지금 우리 교회의 모습이 그러한 것 같아서 필자의 짧은 생각을 나누고 싶어졌다.

모든 종교가 다 친일한 것은 아닌데

필자가 스스로에게 부끄러워하는 일들을 돌이켜보면 대부분 똑같은 경우에 나처럼 행동하지 않은 이들이 있었을 경우였다. 드물게 용감하고 정의로운 일을 한 경우에도 늘 나보다 더 철저하고 한결 같은 친구나 선배들이 있었다. 모두가 다 안하거나 못한 상황이었으면 쉽게 용서되거나 위안을 삼을 수 있었을 텐데 늘 그렇지는 않았다. 교회 일들도 마찬가지이다. 우리가 한국교회사에서 지워버리고 싶은 일들이 몇 가지 있는데, 그 가운데서 가장 큰 사건은 아마 일제 말기에 친일행각을 벌인 일일 것이다. 바로 직전에 있었던 신사참배도 버금가는 일이겠고. 지금처럼 고고하고 그래도 한 때 민주와 정의를 위하여 헌신했던 교회로 추앙받는 우리에게 그런 과거가 있다는 것이 달갑지만은 않을 것이다. 이미 대희년을 통하여 양심 있는 주교, 성직자, 평신도들이 깊이 반성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최근 교회 일각에서 재의를 요청한다는 이야기가 들리는 것은 안타깝다.

솔직히 말해 개신교에는 당시 신사참배를 거부한 성직자와 신자들이 있었다. 이들은 이 때문에 모진 고초를 겪거나 순교하였다. 예외 없이 모든 종교가 다 참여하였다면 우리의 나약함을 탓하고 말았을 사건이다. 그러나 순교와 같은 극단적인 예 말고도 거부한 사례가 종종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불가피한 사건만은 아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일제말기 전시동원 체제에서도 적극적으로 친일이나 부일을 한 사람이 있는 반면, 독립운동을 하신 분들이 있었다. 역시 이런 이들이 없었다면 교회를 위해서 친일은 불가피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당시 필자가 교회의 책임자였다면 더 했을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지우고 싶은 과거가 지워지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평범한 개인도 아니고 한국에서 최고의 권위를 누리는 우리 교회가 이런 비판의 화살을 받는 것은 당연한 일 아닌가?

부끄러운 과거를 몸에 박힌 가시처럼

대희년을 앞두고 주교회의에서 ‘한국천주교회사의 성찰과 전망’이라는 심포지엄을 열고 과거 우리 교회의 과오를 돌아보고 이를 기초로 작지만 ‘화해와 참회’를 내놓았을 때 필자는 이 교회에 속해 있다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애썼던 분들에게 마음으로 감사했다. 이 때 필자에게 우리 교회의 부끄러운 과거는 더 이상 부끄러운 사건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마치 과거의 수치스러운 실수와 잘못들이 그래도 건강한 삶을 꾸려갈 수 있도록 노력하게 해준 요소들처럼, 바오로 사도의 ‘몸에 박힌 가시’처럼 생각되었다.

사실 교회는 “유혹과 고통사이를 걷고 있다”(교회헌장 9항; 새 번역은 ‘시련과 고난을 거쳐 나아간다’로 되어 있다). 마치 순례 여정과 같다. 더위와 추위가 몰려오면 되돌아가고 싶어지고, 길을 모르면 갈짓자로 가게 되기도 하는 것이다. 늘 모든 일에 성공적이고 완벽한 판단을 내리기를 바라지만 부족함이 많은 것이 우리의 인생살이다. 성교회는 완전하나 그 교회를 이루는 구성원들은 완전하지 못하다. 그래서 나약함을 이기지 못할 때가 종종 있다. 모든 일을 잘 헤쳐 나갈 수 있다면 ‘하느님 은총의 힘’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역설적으로 이런 부족함과 나약함 때문에 우리 교회가 위대한 것이다. 그것을 인정하고 다시 반복하려고 하지 않을 때 “마침내 십자가를 통하여 결코 꺼질 줄 모르는 빛에 이를 것이다.”(사목헌장 9항) 다소 안타깝고 억울한 면이 있을지라도 과거를 깨끗이 인정하는 것이 더 우리의 진정성을 드러내주는 방법이다.

 

 

/2008.9.2. 박문수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