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문수의 교회문화 이야기] 연재를 시작하며

글을 쓰기로 약속하고 막상 실행에 옮기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늘 남의 글을 읽고 내 글을 쓰는 게 일이면서도 이 지면에 글을 싣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왜 글을 자꾸 미루고 싶었을까?

생각해보니 ‘지금 여기’라는 신문 제호가 갖는 무게감이 주는 부담이 있었던 것 같다. ‘지금 여기’는 말은 본래 실존적인 질문이자, 윤리적 요청이다. 말이 아니라 행동을 요청하는 말인 것이다. 그리고 이 말은 나치 치하에서 본회퍼가 추구했던 삶이고, 여러 실존주의자들이 스스로를 규정했던 말이기도 하다. 대학시절부터 이 말이 갖는 무게감을 익히 알고 있던 터라 ‘자기 알맹이’를 내어 놓으라는 요청이 큰 부담이 되었던 것 같다.

또 하나는 ‘대안 언론’이라는 본지의 취지가 주는 부담이 컸었다. 말 그대로 대안이 있어야 할 터인데, 내일 모레면 오십인데 삼십대 초반의 호기만 가지고 글을 쓰는 것은 안 될 것 같았다. 필자는 지난 십년 이상 수도회와 교회 심층부에서 일해 왔다. 나름대로 과거 서 있던 자리와 다른 교회의 여러 ‘삶의 자리’에 있는 이들과 만나왔다. 그 과정에서 ‘여기도 사람이 살고 있었네’와 같은 발견을 많이 했다. ‘제도와 카리스마의 긴장’ 안에서도 소박하게 투신하는 이들이 생각보다 적지 않았던 것이다.

과거에는 ‘나 또는 우리’가 도덕적 우위를 가지고 있고, 또 교회쇄신에 대하여 바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착각을 했었다. 그게 나와 우리의 자긍심이자 자존심의 근거였다. 이런 오만이 가당치 않다는 것을 아는 지금 어설픈 글을 써댈 수는 없다고 생각한 것이다. 경륜이 담긴 글, ‘제도로서의 교회’가 갖는 한계를 잘 아는 지금 널리 아우르면서도 본연의 쇄신을 자극할 수 있는 글, 남의 것을 인정해줄 줄 알면서도 ‘내 알짬’은 포기하지 않는 글, 명색이 신학자인데 한 인간으로서 한 신앙인으로서 실존을 담은 글을 써야 한다는 부담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내가 써야 하는 글은 ‘교회 문화’를 성찰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주제가 만만치 않다. 이제 신학공부도 삼십년이 되어 가는데, 명오(明悟)가 열리는 게 아니라 갈수록 더 모르겠어서다. 원인은 종교가 갖는 ‘깊이와 폭’ 때문일 것이다. 그동안 수많은 신앙인들을 만나면서 사람 수만큼 신앙이 다양하다는 것을 배웠다. 어떻게 이런 상황에서 ‘하나의 종교와 신앙’으로 만날 수 있는지 신비로울 뿐이다.

종교는 융의 ‘집단 무의식’처럼 크고 넓은 것 같다. ‘제도로서의 교회’로 규정지을 수 없는 ‘교회의 다른 면모’들도 적지 않은 것 같다. 그래서 쉽게 결정론적으로 말하기 어려울 것 같다. 혹시 시원하게 두들겨 패는 글을 기대하셨다면 실망할 것이다. 나는 이 ‘란’을 통해 신자의 일상생활에서부터. 교회가 전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는 문화에 이르기까지 그동안의 경험을 토대로 깊이 있는 글을 쓰고 싶은 것이 소망이다. 재미도 있었으면 좋겠는데 이것은 내 능력을 벗어나는 것이다. 오랫동안 논문과 보고서 유형의 글쓰기를 하다 보니 말랑말랑한 글을 잘 못쓴다.

진심은 통한다고 했으니 딱딱해도 통하는 것이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일단 글을 쓰기로 작정했으니 더 이상 미루거나 거르는 일이 없을 것이라 약속드린다. 글을 받아내기 위해 ‘감정노동’을 충실히 했던 편집장과 혹시나 하고 기다렸을 독자 여러분들에게 송구한 마음 금할 길 없다. 부족하지만 이 연재가 ‘지금 여기’를 보는 재미를 느끼게 해드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

/박문수 2008-04-21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