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교구 본당 민족화해분과 경청모임에 가다

가톨릭교회는 시노드 여정에 있다. 시노드는 지난해 10월 개막해, 지금은 교구 등 개별 교회와 교회 기구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교회 구성원의 의견을 모으는 경청 단계를 거치고 있다.

교구 가운데 교회 구성원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본당은 물론 각 단체, 지역 시민사회 등의 이야기를 직접 듣는 ‘경청 모임’을 여는 곳이 있어 눈길을 끈다.

의정부교구장 이기헌 주교는 1월 23일 ‘세계주교시노드 본당 경청 과정을 시작하며’라는 서한에서 이번 시노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자들의 살아 있는 목소리가 모여지는 교구 단계, 그중에서도 본당에서 이루어지는 경청 모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굳이 어려운 때에 본당에서 이런 새로운 것을 시도해야 하는지 의구심이 들 수도 있지만, 지금이야말로 시노드가 절실히 필요한 때”라며, “삶의 현장에서 신앙의 길을 걷는 형제자매님들의 목소리가 본당은 물론 의정부교구와 한국 교회, 전 세계 가톨릭교회가 함께 걸어가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경청 모임 참여를 독려했다.

이에 따라 의정부교구는 우선 지난 1월 각 본당에서 경청 모임을 이끌 봉사자들을 대상으로 경청 모임의 주제와 방식, 내용 등에 관한 동반자 연수를 진행했다.

경청 모임은 본당 외의 사목 분야에서 만나는 이들과도 진행 중인데, 구체적인 대상은 교회의 변방, 교회를 떠난 이들, 빈곤과 소외를 겪는 이들 이주민과 난민, 교구 평신도 사도직 단체와 교구 관내에서 소임을 수행하는 수도자, 이웃종교와 시민단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5월 13일까지 경청 모임에서 나온 이야기를 기록한 보고서를 모으고, 28일 교구 차원의 경청모임을 진행한 다음 최종적으로 의정부교구의 시노드 보고서를 완성할 예정이다.

<가톨릭뉴스 지금여기>는 여러 경청 모임 가운데 정의평화위원회, 본당 민족화해분과장과 위원, 이주민과 난민 관련 활동가 경청 모임에 참여해 어떤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고, 어떤 이야기가 오고가는지 살펴본다.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해 활동하는 가톨릭 신자들은 어떤 목소리를 내고 있을까?

의정부 주교좌성당 대강당에서 2022년 의정부교구 본당 민족화해분과 위원 상반기 연수가 12일 열렸다. 의정부교구 민족화해위원회가 매년 상하반기에 마련해 온 연수인데, 올해는 제16차 세계주교시노드의 교구단계 시노드에 맞춰 경청 모임으로 진행됐다. 이날 의정부교구 관내 16개 본당의 민족화해 분과장, 위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참가자들은 5개 조로 나뉘어 민족화해분과 활동에서 얻은 다양한 체험을 나누고 활동에 대한 고민과 어려움 그에 대한 답을 성령 안에서 함께 찾아갔다. 모임은 ‘교회와 사회 안에서의 대화’, ‘민족화해와 교회’라는 두 주제에 따라 각각 시노드를 위한 기도, 성경말씀 묵상, 주제 묵상, 나눔과 경청, 식별 단계로 진행됐다.

이날 경청모임은 시노드를 위한 기도와 성경말씀 묵상으로 시작됐다. ⓒ김수나 기자
이날 경청모임은 시노드를 위한 기도와 성경말씀 묵상으로 시작됐다. ⓒ김수나 기자

주임사제 사목방향에 따라 모임과 활동 크게 달라져
민족화해에 대한 낮은 인식과 가치관 차이 등 어려움

경청 모임에서는 주임사제의 사목 방향에 따라 본당의 모임이 폐지되거나 활동이 멈추기도 해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사제 성향이나 교구 지침에 따라 모임이 활발하거나 동력을 잃기도 하는 반면, 본당의 전적인 지원이 있어도 분과원 모집 자체가 어려운 문제도 있다.

또한 민족화해에 대한 본당 구성원들의 개념이나 인식이 적고, 정치 성향의 차이로 분과원들이 구성원들에게 민족화해 활동을 이해시키기가 어렵기도 하다. 분과가 시작 단계일 때 분과원에 대한 교육 지원이 더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또 코로나19로 인해 준비됐던 프로그램을 하지 못하게 되고 기존 모임도 중단돼 소통이 줄어들어 아쉬움이 크다는 등의 목소리도 나왔다.

민족화해분과가 본당에 만들어지기 시작한 지 6년째지만 여전히 민족화해에 대한 본당 구성원들의 저변이 작고, 국내외 정세에 영향을 크게 받아 다른 분과보다 활동하기 어려운 만큼 본당 사제나 리더 그룹의 전적인 격려와 일상의 꾸준한 대화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김석은 씨(전곡 성당)는 “코로나까지 겹쳐 대화 자리마저 없어진 상태”라면서 “신앙이든 봉사든 차를 마시더라도 일단 모여야 하고, 조직적이 아닌 소규모 모임이라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오창준 씨(백석동 성당)는 “주임사제에 따라 분위기나 활동 영역이 많이 다른 문제가 대화한다고 풀어질까”라면서 “교회 밖에서는 어떤 주제든 이야기하기 편하지만, 교회 안에서는 하느님의 가르침을 토대로 해야 한다는 어려움과 세대 차이 등으로 대화가 어렵다 보니 주로 위에서 내려오는 주제들로 대화하게 된다”고 말했다.

다른 분과처럼 분과원 모집이 어렵지만 이에 더해 본당 구성원들의 가치관과 인식 차이도 민족화해 활동의 큰 어려움이다.

신자들이 통일이나 대북 지원, 북한 이탈주민 정착 지원 등에 대해 납득하지 못하거나 때로 비난하고 공격하기도 해 분과원들은 지치기도 한다.

이미숙 씨(인창동 성당)는 “색깔론까지는 아니지만 신자들의 세계관이 달라 어렵다”면서 “분단 현실이 고착화 돼 슬프고, 노력해도 해소가 잘 안되는 상황에서 같은 신자들의 공격은 서글프기도 하다. 하느님은 이를 어떻게 생각하실까 묻게 된다”고 말했다.

북한이탈 주민의 생활 정착을 위해 본당이 물심양면 도왔는데, 정작 다른 곳으로 떠나거나 다른 종교를 선택하는 모습을 볼 때 공허감이 느껴지고, 선교도 못했다는 종교적 욕심이 들 때, 물적 지원을 넘어 친교에 이르기까지 봉사자로서 마음을 열기 어려웠던 점 등 깊은 나눔도 이어졌다.

조로 나뉘어 경청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본당 민족화해분과원들. ⓒ김수나 기자

'봉사자들 간 연대'와 '조건 없는 경청' 필요

참가자들은 봉사자들 간 연대와 교육, 깨달음과 실천으로 연결되는 기도와 성찰, 전제 조건을 달지 않고 경청하는 대화 태도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선희정 씨(중산 성당)는 “다른 본당 이야기를 들으니 힘들겠다고 공감하게 됐다. 서로의 고충을 이해하는 자리가 필요하다”면서 “이런 자리가 없으면 좌절하기 쉽다. 활동하는 이들이 만나 대화하면 서로 많이 공감할 수 있겠다”고 말했다.

본당 구성원의 급격한 노령화와 보수화, 서로 다른 가치관 등 어려움이 공존하지만 참가자들은 그럴수록 현실을 있는 그대로 마주하고 본당 구성원과 지역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이며 기도와 성찰을 놓아서는 안 된다고 봤다.

김석은 씨는 “평화를 비는 마음으로 기도와 실천 노력이 함께 가야 하고, 가치관이 많이 다르다면 교회와 상관없는 대화부터 시작해 보자”고 제안했다. 오창준 씨는 “전제 조건을 달지 않고 서로에게 경청하는 언어 습관이 필요하고, 상대방의 말에 하느님 말씀이 있다는 생각을 가져야 대화가 잘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숙 씨는 “지역사회, 성당 교우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귀담아듣고 소통하면서 교회가 어떻게 변화해야 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선희정 씨는 “매일 매일을 성찰하지 못해 죄송한 마음이지만 늘 기도하고 성찰하면서 주의 뜻을 찾고 의지하면서 있는 그대로 대면하며 나아가자”고 말했다.

강신조 씨(금촌2동 성당)는 “미사 때 전 신자들이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문을 같이 읽는데 이처럼 작은 활동이라도 일상에서 민족화해를 마음에 와닿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영태(평내 성당) 씨는 “민족화해에 대해 일반 신자들이 오해하는 부분을 분과원들이 제대로 알고 공부해 전달하고, 말로만이 아니라 작은 것이라도 실천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덕래 씨(인창동 성당)는 “민족화해분과가 다른 분과에 비해 분과원 모집이 더 어려운 만큼 다른 단체와 연동해서 활동하도록 하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조로 나뉘어 경청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본당 민족화해분과원들. ⓒ김수나 기자
조로 나뉘어 경청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본당 민족화해분과원들. ⓒ김수나 기자

"어렵기 때문에 더 필요한 민족화해분과"

이날 나온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는 앞으로 의정부교구 본당 민족화해분과의 존재 의미와 활동 방향을 찾아가는 데 쓰일 예정이다.

강주석 신부(의정부교구 민족화해위원장)는 "사목연구소의 제안으로 이번 연수를 경청모임으로 진행하게 됐다"면서 “그동안 단편적인 간담회는 있었지만 민족화해분과에 대한 체계적 평가의 자리는 이번이 처음이고, 시노드 차원은 물론 민화위 차원에서도 필요한 자리”라고 <가톨릭뉴스 지금여기>에 말했다.

이어 그는 “남북 갈등과 남남 갈등의 영향을 크게 받는 분과다 보니 어느 분과보다도 더 어려움이 크고, 평화를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 이 분과의 의미가 더 크다”면서 “갈라진 세상에서 화해와 일치를 위해 계속 기도하고 고민하고 활동하는 조직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번 모임을 계기로 민족화해분과의 존재 의미가 무엇이고, 어떤 활동을 해야 하는가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의정부교구 민화위는 이번 경청 모임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설문 조사와 보고서 발간 등도 고려하고 있다.

본당 민족화해분과는 2016년 5월 주교회의 민화위가 전국 본당에 민족화해분과 설치를 추진하면서부터 개설되기 시작했으며, 2020년 기준, 의정부교구 84개 본당 가운데 민족화해분과가 설치된 본당은 46개다.

이날 경청모임에는 의정부교구 16개 본당의 민족화해 분과장, 위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김수나 기자<br>
이날 경청모임에는 의정부교구 16개 본당의 민족화해 분과장, 위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김수나 기자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