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정평위, 미얀마 청년과 간담회 열어
본당의 미얀마 연대 활동 지원할 것

천주교 인천교구 정의평화위원회가 4일 미얀마 청년과의 온라인 간담회를 열고, 미얀마 쿠데타 이후 지난 1년간의 현지 상황을 전하며, 간담회와 사진전 등 본당이 할 수 있는 연대 방법도 제안했다. 

이날 간담회에 나선 A 씨(미얀마에 있는 가족의 안전을 위해 이름을 밝히지 않는다)는 ‘행동하는 미얀마 청년연대’(이하 YAM)에서 활동하고 있다.

쿠데타 뒤 결성된 YAM은 미얀마 시민 저항과 민주주의를 위한 기자회견, 강연, 모금활동 등을 해왔다. 그는 YAM 활동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 있는 미얀마인과 팀을 만들어 군부에 체포 당한 사람들을 위해 변호사를 연결해 주는 일도 하고 있다.

지난해 2월 1일 군부는 2020년 11월에 치른 총선이 부정선거라는 명분을 내세우며 쿠데타를 일으켰다. A 씨는 그러나 의석의 25퍼센트가 군인에게 배정되는 헌법을 개정하지 못하게 하려는 것이 쿠데타의 실제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미얀마 선거법에 따르면 연방의회와 주의회 의석 664석 가운데 166석은 선출 절차 없이 군부에 배정되고 나머지 498석을 선거로 뽑는다. 미얀마 군부는 경찰과 국경경비대도 통제한다. A 씨는 이같은 상황에서 아웅산 수치가 이끈 민주주의민족동맹(NLD) 정부가 정책 결정을 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민주화 투쟁에 모든 연령과 직업군의 시민들이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얀마에서 임금 수준이 가장 낮은 철도 노동자들은 시민불복종 운동에 참여해, 군부의 이동을 방해했다. 교사, 의사 등도 시민불복종 운동에 함께한다.

이러한 시민불복종 운동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노벨평화상 수상자 후보에 올랐다.

한편에서는 시민방위군을 결성해 무력 투쟁을 벌이고 있다. 지난해 4월 16일 민주주의민족동맹 인사들을 중심으로 민족통합정부(NUG)가 출범했고, 5월에는 시민방위군(PDF)이 창설됐다. NUG는 9월 군부에 저항 전쟁을 선포했다.

미얀마 민주주의를 응원하는 손팻말. ⓒ배선영 기자<br>
미얀마 민주주의를 응원하는 손팻말. ⓒ배선영 기자

미얀마 시민운동, 군부독재 넘어 소수민족에 대한 인권침해, 차별과도 싸워

다민족 국가인 미얀마에는 약 68퍼센트 정도가 되는 버마족과 까칭족, 친족 등 8개 대표 민족이 있다. 미얀마 정부가 인정하는 공식 민족은 135개다. 지금의 민주화 시위는 미얀마 거의 전 지역에서 벌어지고 있지만, 차별과 탄압을 받아 왔던 소수민족은 군부에 맞서 수십 년간 무장투쟁을 해왔다.

A 씨는 버마족 위주의 군부 정권이 로힝야 족을 비롯한 소수민족을 차별하고 탄압하는 것을 몰랐다고 말했다. 미얀마에서 자유롭게 인터넷을 쓰게 된 지는 10년 정도 됐고, 방송은 모두 국영방송뿐이라 다른 대표 민족 무장단체가 테러리스트로 규정되는 것을 보아야 했다.

그는 이들이 실은 인권을 위해 투쟁하는 시민들이고, 버마족 사람들이 다른 민족에 사과하고 있다면서 이번에 전국적으로 민주화 투쟁을 하면서 이전의 갈등을 풀 수 있길 희망했다. 

이어 “지금의 시민운동은 군부독재뿐 아니라 소수민족에 대한 인권침해, 차별도 같이 없어져야 한다는 목표로 하고 있으며, 민족통합정부가 이전 NLD 정부와 다르게 ‘연방민주주의’를 표방하며 다른 민족의 신뢰를 얻으려고 애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른 민족들이 버마족에 신뢰가 없어 투쟁의 힘을 한데 모으는 것이 쉽지 않지만, 이것이 청년들의 과제이고, 많은 대화가 필요하다”며, “더더욱 로힝야족을 비롯해 차별과 탄압이 있었던 사실을 제대로 설명하려고 노력한다”고 덧붙였다.

인천교구청에 있는 머릿돌 앞에 놓인 "미얀마에 민주주의를!"이라고 쓰여진 손팻말들. ⓒ배선영 기자<br>
인천교구청에 있는 머릿돌 앞에 놓인 "미얀마에 민주주의를!"이라고 쓰여진 손팻말들. ⓒ배선영 기자

미얀마는 여전히 시민방위군와 군부의 내전이 계속되고 있다. 군부는 마을 민가, 종교시설 방화 및 재산 강탈, 고문, 학살, 성폭력 등을 일삼고, 실향민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불법체포도 심각하다. 

A 씨는 “불법체포 당한 사람들의 정보를 미얀마 정치범지원협회(AAPP)에 알려주면 이를 인터넷에 공개하고, 구금을 당해도 함부로 죽일 수 없다. 그러나 군부가 저항이 심한 지역은 인터넷을 끊어 누가 체포를 당했는지 알 수 없다. (체포 여부를) 빨리 알아야 살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군부가 어린아이와 노인들의 손을 묶은 채로 앞에 내세워 방위군이 공격할 수 없게 인간방패로 만들었다고 말했다.

미얀마 인권단체인 정치범지원협회(AAPP)에 따르면,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킨 지 397일째인 3월 4일 기준 1603명이 사망했고, 1만 2000명이 넘는 이들이 구금됐다. A 씨는 확인 되지 않은 사망자나 실종자가 더 있을 것으로 본다. 

앞으로의 미얀마 상황을 어떻게 예상하는지 묻자 A 씨는 “현재로서는 전망하기 어렵다. 상황이 복잡하고 어려워지고, 사람들도 지쳐서 예전보다 활동이 적어질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답했다. 이어 "민족통합정부가 언제까지 시민들이 버틸 수 있을지, 시민방위군이 언제까지 싸울 수 있을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계획해서 시민들에게 분명한 길을 보여 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A 씨는 지난 1년간 “한국은 가장 적극적으로 미얀마를 지원한 나라”라고 말했다.

해외주민운동연대(KOCO)을 통해 6차례 보낸 후원금으로 실향민과 시민불복종 운동으로 직업을 잃은 이들을 지원했다. 법무부는 한국에 있는 미얀마인이 계속 머물 수 있게 인도적 특별체류를 허가했다. A씨는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기부 요청이 점점 어렵다며, 어떤 청년들은 유튜브 채널을 열어 그 수익금으로 시민방위군을 지원하고 있다고 했다. 

이날 인천교구 정의평화위원회는 미얀마 민주주의를 위해 교구와 본당이 연대할 방법을 제안했다. 본당이 미얀마 청년과 대화의 자리를 마련한다면 사업비 등은 정평위가 지원할 예정이다. 또 미얀마 사진전을 열거나 5.18 주간에 미얀마에 관한 영상을 보고, 미얀마 민주주의를 위해 미사를 봉헌하자고 했다.

미얀마와의 연대에 참여하고 싶은 본당은 인천교구 정의평화위원회로 문의하면 된다.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