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가 깃든 밥상-1]

▲문성희 선생은 본래의 생명력과 색깔과 모양을 망가뜨리지 않고 먹으려면 시장이 아니라 밭으로 가면 된다고 말한다.(사진/도서출판 샨티 제공)
생태 운동의 영성적 지도자 사티쉬 쿠마르는 생태적 삶을 살기 위해 일상에서 할 수 있는 일로 ‘걷기’와 ‘요리’ 두 가지를 제안했습니다. 걷기야말로 바쁜 이 시대를 사는 우리로 하여금 속도를 줄여 살게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며, 우리의 마음을 자연과 연결시키는 방법이고, 또 걷는 것이야말로 우리의 몸과 마음과 영혼을 행복하게 하는 길이라고 설명했어요.

두 번째 제안한 요리 역시 자연과 연결시켜주는 좋은 매개가 된다고 말합니다. 이 음식은 어디서 왔을까, 어떻게 길러졌을까 등을 생각하고 느끼면서 만드는 요리는 지구와 깊이 접촉하게 만든다는 것이지요. 전적으로 동감입니다. 한때 유행처럼 번졌던 ‘웰빙’이나 ‘슬로라이프’ 같은 말도 ‘걷기’와 ‘요리’, 이 두 가지에서 시작하면 되지 않을까 싶어요.

나는 이십여 년 넘도록 맛있고 화려한 요리를 만들고 멋진 요리상을 차리는 일에 몰두해 살아왔지만 이제는 다듬고 난도질하고 볶고 지지고 삶는 일을 최소화하려고 해요. 가장 맛있는 요리는 본래의 생명력과 색깔과 모양을 망가뜨리지 않고 먹는 것이고, 그런 음식을 찾기 위해서는 시장이 아니라 밭으로 가면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거든요. 이십 년 요리사라는 긴터널을 지나 내가 찾은 ‘참맛’의 저장고는 하늘이 차려주신 ‘밭’이라는 밥상입니다. 이미 차려진 밥상이 있으니 손님이 많아도 내 할 일은 그다지 많지 않아요.

부산 철마산에 살던 시절, 일 년에 한 번씩 음악회를 열 때도 백 명이 넘는 손님들이 찾아오곤 했는데, 거친 주먹밥과 통팥시루떡, 찐 감자와 옥수수, 생두부와 생채소 그리고 된장과 토마토만으로도 풍성한 식탁이 되곤 했어요. 대단한 요리도 없는데 다들 맛있다고 하면 내가 물어보지요. “뭐가 제일 맛있었어요?” 그러면 하나같이 “밥이요!” 하고 대답합니다. “왜 밥이 맛있었을까요?” 다시 묻습니다. 이러저러 답이 나오지만 내 대답은 간단해요. “반찬이 적어서 그래요!”

사실 반찬이랄 것도 없지요. 반찬이 따로 없다보니 밥을 먹을 때는 밥만 먹게 되고, 두부를 먹을 때는 두부만, 감자를 먹을 때는 감자만 먹게 되기 때문에, 그 하나하나의 고유한 맛과 만나게 됩니다. 순수한 그 맛을 알게 되는 거지요. 이런 맛있는 음식을 식탁에 올리기 위해 평소에도 따로 요리할 게 없으니 시간은 무척 여유로워집니다. 이 여유로운 시간에 뜨겁게 달군 돌멩이를 끼고 앉아 한 땀 한 땀 바느질로 옷을 짓습니다. 그렇게 만든 옷의 가벼움과 편안함은 한번 누려보면 결코 다른 식의 삶과 바꾸고 싶지 않을 정도죠. 생활 속의 모든 것이 정리되고 단순해집니다.

이번 연재에서 소개하는 요리들은 요리와 함께 살아온 지난 삼십 년의 삶 속에서 추리고 추린, 일종의 커리큘럼 같은 것입니다. 서로 잘 어우러지는 과 색, 재료와 영양, 요리하는 시간 등을 고루 안배하여 만들어놓은 세트 상차림이지요. 요리법을 소개하기 전에 상차림 하나하나마다 왜 그렇게 세트를 이루게 되었는지, 어떤 것에 초점을 맞추어 꾸민 상차림인지 설명을 곁들였습니다. 읽고 요리에 들어가면 조금은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물론 내가 만든 대로 짝을 이루어 한 상을 차려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한두 가지 반찬이 빠질 수도, 더 들어갈 수도, 또 다른 재료를 사용해서 창조적으로 변화시킬 수도 있어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혀가 아니라 지금 내 몸이 원하는 음식이 무엇인지 잘 살펴서 즐겁게 그리고 정성 들여 준비한 뒤 감사하는 마음으로 먹는 것이니까요.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

작가 문성희 선생은..


자연 요리 연구가이면서 세계적인 라자요가 명상학교인 브라마쿠마리스 학생이며, 단식 캠프 강사이다. 20여 년간 요리 학원 원장으로 살면서 맛있고 화려한 요리를 만들고 멋진 요리상을 차리는 일에 몰두해왔다. 가장 훌륭한 요리는 재료가 가진 본래의 생명력과 색깔과 모양을 망가뜨리지 않고 먹는 것이고, 그런 음식을 찾기 위해서는 마트가 아니라 밭으로 가면 된다는 사실과 조리 과정이 최소화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요리 학원을 그만두었다. 그 후 부산의 철마산 자락에 자리를 잡고 텃밭을 가꾸며, 햇볕과 바람에 말린 곡류와 채소로 생식을 만들어 사람들과 나누기 시작했다.

일 년에 한 번씩 '행복한 식탁이 있는 산속 음악회'를 열고 겨울이면 뜨겁게 달군 돌멩이를 끼고 앉아 손바느질로 옷을 지어입는 등 단순 소박한 삶을 살면서, 요가 수련과 명상을 통해 몸과 마음을 살피는 일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거친 밥과 푸성귀, 생식가루를 먹고 사는 동안 점차 몸 세포가 변하고 마음이 안정되는 걸 느끼면서 생명을 살리는 음식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후 들뫼자연음식연구소를 만들고 본격적으로 자연음식 연구가로 활동해왔다. 여러 가지 들풀을 발효한 산야초 차와 발효 식품, 자연 건조 생식은 한국산업기술평가원에서 기술 평가를 통해 신기술 보육 사업으로 인정받았다. 지금은 '문성희의 자연식 밥상' 강좌를 통해 많은 이들에게 행복한 밥상을 선사하고 있으며, 생협이나 환경 단체, 소비자 단체 등과 '윤리·생태·생명의 밥상 차리기' '형화가 깃든 ' '지구를 위한' 밥상 차리기 강좌를 꾸준히 해오고 있다.

*문성희 선생의 요리를 체계적으로 배우려면, 샨티 출판사에서 펴낸 <평화가 깃든 밥상>을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이 연재는 그 책의 내용중 골라서 독자들과 나누는 것입니다.  -편집자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