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현장]

얼마 전 연중 기획 한 주제로 ‘본당의 사회복지비’를 다뤘다.

몇몇 교구에서 각 본당의 사회복지비(자선비, 자선지원비) 지출을 일정 비율로 권고하고 있으며, 이를 각 본당에서는 얼마나 지키고 있는가에 대한 내용이었다.

처음 계획만큼 채우지 못한 아쉬움도 있었지만, ‘사회복지’라는 교회의 주요한 역할에 대한 내용임에도 호응도는 생각보다 낮았다.

이번뿐 아니라 기사 클릭 수를 살펴보면, 가톨릭 신자들, 최소한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독자들이 어느 부분에 반응하고 어느 부분에 관심이 없는지 대략 파악이 되는데, 비슷한 주제의 다른 기사도 마찬가지다. 섣부른 판단일지 모르지만, ‘사회복지’는 교회에서 가장 큰 공을 들이고 있는 부분 가운데 하나지만, 사실 신자들은 그것에 관심이 별로 없거나 긴급한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가만히 두고 생각해 보니, 나를 포함해 ‘사회사목’에 대한 지향도가 높은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독자들은 어쩌면 사회사목과 사회복지가 서로 다른 방향성에 있다고 봐 왔던 것은 아닐까 싶다. 또는 그동안 교회가 ‘사회복지’를 사회구조나 정치적 문제와 별개로 두고 해 온 것에 대한 반작용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든다.

서울대교구 유경촌 보좌주교는 사회사목을 담당하면서, 사회사목국과 사회복지회 간의 연대성을 강조하며 시스템을 개편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정의평화위원회부터 일반병원사목까지 아우르는 사회사목국의 사목 기반은 ‘정의평화’가 되어야 하며, 이 범위에 사회복지회도 포함된다는 것이다.

즉, 사회사목과 사회복지는 별개이거나, 어느 한편이 강조되면 다른 한편은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사안이 아니라, 큰 범주의 정의와 평화를 위한 활동 안에서 맞물려야 한다는 것이다.

하나의 현상을 두고 생각이 너무 많이 나갔는지 모르겠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교회의 ‘사회복지’는 새로운 전환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사목이 그렇겠지만 특히 사회복지는 가정사목, 사회사목 등과 더욱 긴밀하게 구조적, 내용적으로 맞물려야 하고, 복지를 위한 교회의 모든 활동은 그 맥락에서 구체적 실천의 하나가 되어야 한다.

지난 기획 기사를 쓰면서 몇몇 본당의 사례를 통해 긍정적 현상을 발견했다. 본당 사회복지 활동이 본당공동체를 넘어 지역 사회의 어려운 이웃을 돌보는 것으로 확장해 가는 모습이다.

굳이 본당만이 아니라 그리스도인으로서 사는 곳 주변의 가난한 이가 누구인지 아는 것, 그들이 왜 가난한지 묻는 것, 그리고 그들의 가난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나서는 것. 그것이 사회복지이자, 사회사목 그리고 그리스도인으로 존재하는 모습일 것이다.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