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평협, 김익진, 김홍섭, 최정숙, 서상돈, 장면 소개

천주교 평신도사도직단체협의회(한국평협)가 20세기의 모범적 평신도들의 삶과 사상을 소개하는 연재물을 엮어 책으로 냈다.

“불꽃이 향기가 되어”라는 제목으로 나온 첫 번째 책에서는 김익진, 김홍섭, 최정숙, 서상돈, 장면 등 5명이 소개됐다. 제2공화국 국무총리를 지낸 장면, 그리고 ‘사도 법관’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김홍섭을 제외하면 오늘날 천주교 신자들에게는 낯선 이름일 수도 있다.

한국평협은 3월 15일 저녁 명동성당 프란치스코홀에서 출판기념회와 축하연을 열었다. 이 자리에는 권길중 한국평협 회장을 비롯한 각 교구 평협 대표, 글을 쓴 작가 등 100여 명이 모였다. 김익진, 장면 등의 유족도 참석했다.

▲ (왼쪽부터) 이미애, 권은정, 김문태, 최홍운 씨. "불꽃이 향기가 되어" 출판기념회에 참석한 작가들이 소감을 말하고 있다. 오른쪽 끝은 박철용 한국평협 사무총장. ⓒ강한 기자

김익진의 셋째 딸 김화영 수녀는 “혼란한 사회에서 우리 평신도가 어떻게 살고, 신앙을 전해 한국 사회에 기여할 수 있을지 자주 생각한다”며 “앞서 가신 분들의 향기와 신앙의 불꽃을 저희가 이어 갈 수 있도록 노력하고 협조하자”고 말했다. 서울에서 주교회의 정기총회에 참석 중인 염수정 추기경, 김희중, 조환길 대주교 등 주교 7명도 와 축하 인사를 하고, 책에 소개된 평신도들에 대한 기억을 말했다.

책에 실린 다섯 평신도에 대한 글을 작가 5명이 각각 글을 썼다. 그래서 다섯 편의 글은 모두 글의 특징이 조금씩 다르고, 김익진의 이야기는 일인칭 주인공 시점의 소설과 비슷한 방식이다.

교육자이자 문필가였던 김익진(프란치스코, 1906-1970)은 전남 목포의 관료였던 김성규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일본, 중국에서 유학하며 공산주의의 영향을 깊이 받았지만, 고서점에서 읽은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를 읽고 깨우쳐 귀국한 뒤에 천주교 신자가 됐다. 아버지에게서 넓은 땅을 물려받았지만 1948년 소작농들에게 땅을 무상으로 나눠 준 사실도 유명하다. 그 뒤 김익진은 대구로 옮겨 가 교육자로, <가톨릭시보>(오늘날의 <가톨릭신문>)의 무보수 편집 동인으로 일했다.

김홍섭(바오로, 1915-1965)의 일대기에는 ‘사형수의 대부인 사도법관’이라는 제목이 붙었다. 글에는 1950년대 김홍섭 판사가 사형수 허태영, 장성도의 세례 대부가 된 이야기가 실렸다. 허태영은 이승만 대통령의 심복으로 전횡을 일삼던 김창룡의 살해를 주도한 일로 사형 판결을 받은 사람이었다. 작가는 판사가 사형수를 직접 만나러 가는 일은 “전에 없던 일”이었고, 김홍섭이 날을 가리지 않고 수인들을 만나러 가며 전교에 열심이었다고 적었다. 김홍섭은 1940년대 후반부터 판사로서 서울지방법원, 광주고등법원, 대법원에서 일했다.

최정숙(베아트리체, 1902-1977)은 독신으로 살았던 제주도 출신의 교육자다. 주로 전남과 제주에서 교사로 활동했지만, 1940년대에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에서 공부하고 수련의가 됐다는 경력도 적혀 있다. 3.1운동 때 옥고를 치렀고 4.3사건 때 군에 붙잡혀 죽을 위기에 몰렸던 일화도 있다. 최정숙은 일제에 몰수당한 제주 신성여학교를 해방 직후 되찾아 재건하는 데 많은 노력을 했고 무보수 임시 교장을 맡았다. 1964년에는 초대 제주도교육감으로 선출됐다.

초기 대구대교구의 대표적 평신도로 손꼽히는 서상돈(아우구스티노, 1850-1913)은 1900년대 국채보상운동의 선구자로 소개된다. 등짐장수였던 서상돈은 낙동강 뱃길을 이용하는 상인으로 크게 성공해 40대에 수십 명의 보부상을 거느리는 상인이자 대지주가 됐다. 1890년대 말에는 독립협회, 만민공동회에 참여했다. 일제의 탄압으로 국채보상운동이 실패한 뒤 서상돈은 사업에 전념하며 “실업 진흥을 통한 민족 실력 양성에 힘썼다”고 작가는 적었다.

장면(요한, 1899-1966)은 한국 천주교가 각별하게 여겨 온 대표적 평신도 지도자여서 더 설명할 필요가 없을 정도다. 작가는 장면의 친일 논란에 대해 자세히 적었다. 우선 총독부의 강압에 못 이긴 천주교 경성대목구(오늘날의 서울대교구)가 1938년 만들어진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연맹에 참여할 담당자로 장면을 지명했고, 다마오카 스토무로 창씨개명을 한 이야기가 나온다.

글에서는 ‘소극적 부일이라도 책임을 면할 수 없다’는 민족문제연구소의 비판을 인용했다. 한편, 3.1운동에 참여했으며 신학생들에게 독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장면의 과거와 친일 행위는 잘 이어지지 않는다며, 대표적 천주교 평신도였던 그가 국민정신총동원에 동참한 것은 ‘불가피’한 일이었다는 조광 교수의 의견도 소개한다.

이 책 “불꽃이 향기가 되어”는 2014년 평신도 주일에 시작된 한국평협과 <평화신문>의 공동기획 연재물을 엮은 것이다. 최홍운 전 <서울신문> 편집국장, 김문태 서울디지털대 교수, 작가 윤지강, 권은정, 이미애 씨가 글을 썼다. 2016년 시작된 2차 연재에서는 양한모, 김구정, 박병래, 구상, 김금룡을 소개한다.

선정된 주인공 10명은 19세기 말 또는 20세기 초에 태어난 인물들로, 산업화 이후 격동기를 산 인물은 본격 언급되지 않았다. 또 10명 중 최정숙 1명만 여성이라는 점은 아쉽다. “불꽃이 향기가 되어”에 실린 5명 중 4명(김익진, 김홍섭, 최정숙, 장면)이 재속 프란치스코회 회원이었다는 점은, 이 재속회가 한국 교회에 미친 영향이 적지 않았음을 짐작하게 한다.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저작권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